ADVERTISEMENT

최종구 “국가 부도 위험 과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지난 금요일(16일) 40억~50억 달러로 추정되는 외환당국의 시장 개입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돈 쓸 때가 따로 있는데 아무 때나 퍼부으면 어쩌란 거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반면 우리선물 변지영 연구원은 “정부의 시장 개입으로 악순환을 차단해 1200원 선을 방어했다”고 평가했다. 사후적으로만 보면 정부의 시장 개입 효과는 크지 않았다. 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에 대한 원화가치는 지난 주말보다 29.80원 급락한 1195.8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8월 31일(1198.10원) 이후 13개월여 만에 최저다. 외환당국도 할 말은 있다. 16일 당시 역외선물환(NDF) 시장에서 원화 값이 1220원까지 떨어졌던 점을 감안할 때 시장 개입이 없었다면 1200원대 중반까지 떨어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원화가치가 빨리, 많이 하락하면 아직까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채권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된 지난달 5일 이후에도 외국인은 국내 채권시장에서 8월 3조8000억원과 9월 2조1000억원의 순매수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사진)은 26일 “외환보유액은 위기 대응에 충분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유독 한국이 타깃이었지만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2008년 당시엔 국내 외은지점이 외화의 주요 유출경로였지만 선물환포지션 제도 등 외환건전성 조치로 외은지점의 단기외채 규모가 2008년 9월 말 939억 달러에서 올 6월 말 641억 달러로 확 줄었다는 점도 거론했다. 유럽계 차입 비중에 대한 걱정도 지나치다고 했다. 최 차관보는 “현재 유럽에서 차입한 금액은 7월 말 현재 629억8000만 달러로 외환보유액(3122억 달러)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일부 유럽계 은행이 만기 도래 때 상환을 요구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반적으로는 차환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프랑스보다 높아진 것과 관련, “트리플 A인 프랑스보다 신용등급이 낮은 한국의 CDS가 그동안 낮게 형성된 게 오히려 예외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국의 CDS 프리미엄이 7월 말 이후 96% 올랐지만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도 99% 올랐고 원천적으로 대외부도가 날 수 없는 일본도 58% 올랐다”며 “일부에서 한국의 부도 위험을 과도하게 부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혜리·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