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위치추적 관련 국내에서도 집단소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스티브 잡스

애플사가 위치정보 불법 수집 논란으로 미국에서 피소당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유사한 소송이 처음으로 제기됐다.

 강모씨 등 아이폰 사용자 29명은 아이폰이 동의 없이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해 피해를 봤다며 28일 서울중앙지법에 미국 애플사와 한국법인 애플코리아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아이폰이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는 사실이 드러난 뒤 ‘아이폰 트래커(iPhone Track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확인해 보니 과거 6개월간 방문한 장소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등 사생활 침해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강씨 등은 “애플은 위치정보를 어디에 사용하는지조차 밝히지 않았고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게 필요한 기술적 조처를 해야 하는데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며 위자료로 1인당 80만원을 지급하라고 요구했다. 국내 아이폰 사용자는 올해 1월 하순에 이미 2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일단 소송이 제기되면 유사한 형태의 집단적인 청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이 사용자 위치정보를 무단 수집했다는 논란에 대해 처음으로 입을 열었다. 잡스는 27일(현지시간) “우리는 누구의 위치정보도 추적하지 않았다. 우리는 공학기술 중심의 회사다. 사람들이 문제를 제기할 때 우리가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진실이 뭔지부터 찾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보기술(IT) 관련 웹미디어 ‘올 싱즈 디지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다. 잡스는 위치 추적 논란에 애플이 늑장 대응을 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이번 일은 지난주 수요일(20일) 시작됐고 우리는 오늘 아침 답을 내놓았다. 일주일이 채 걸리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문제가 제기된) 이 모든 것들을 파악하는 데 며칠, 첨단 기술과 관련된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는 데 며칠이 걸렸다”고 덧붙였다.

허진 기자 ,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