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론

한국에서 스티브 잡스가 나오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정지훈
관동대 의대 명지병원 교수

췌장암을 앓았던 스티브 잡스가 세 번째 병가(病暇) 중이다. 얼마 전 내셔널 인콰이어러라는 주간지에서 6주밖에 못 산다는 이야기와 함께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고, 백악관에서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에릭 슈밋, 마크 저커버그 등 유명 IT CEO들과 저녁을 함께하는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는데, 머리카락 등의 상태로 보았을 때 건강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사실 스티브 잡스처럼 IT 업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도 없다. 1976년 약관 22세의 나이로 애플 II 라는 개인용 컴퓨터를 발표하면서 세계를 PC 열풍으로 몰아넣은 장본인으로 화려하게 세상에 알려졌다. 절치부심한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협공에 따라 후속 제품들의 판매 부진으로 자신이 직접 영입한 펩시콜라 출신의 존 스컬리에 의해 애플에서 1986년 쫓겨나는 수모를 겪기도 한다. 그러나 이때 가지고 있던 현금으로 당대 최고의 3D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이기도 하고, 후에 실질적으로 디즈니를 인수까지 하게 되는 픽사라는 회사를 조지 루커스로부터 사서 키우는 계기를 마련했고, 오늘날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에 들어가는 운영체제의 기틀을 세우게 되는 넥스트라는 회사도 설립했다. 이후 1997년 다시 침몰하는 애플이라는 난파선에 합류해 아이팟과 아이폰, 아이패드로 이어지는 새로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혁신적인 변화와 아이튠즈와 앱스토어라는 콘텐트를 가진 곳들과 개발자들의 생태계를 엮어내면서 PC에 이어 다시 한번 거대한 패러다임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가 이렇게 많은 실패를 딛고 일어서서 세상을 바꾼 도전적인 사람이라는 것은 생각보다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엔지니어라기보다는 사람들에게 열정을 전파하고, 설득하는 능력이 뛰어났고, 예술적인 감각과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능력 등을 갖추고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해나가는 그의 창조적인 능력은 오늘날 꼭 필요한 미래형 인재의 롤 모델로 부족함이 없다. 그래서인지 2010년 스티브 잡스는 우리나라의 교육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쳐, 소위 ‘스티브 잡스 육성사업’이라는 것을 시작하게 만들었다. 과거처럼 천편일률적인 형태의 전문가를 양성하기보다는 기술기업의 전략을 책임질 수 있는 실무능력과 전문성 등을 갖춘 인재를 기술경영 전문대학원 등의 고등교육을 통해 양성한다는 취지의 프로그램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인물은 육성할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 그보다는 그런 인물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기업에서도 그런 사람들이 치고 올라올 수 있으며, 최소한 왕따를 당하거나 불이익만 당하지 않도록 도와준다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다시 말해 환경과 분위기, 철학의 문제라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인물의 대성공은 우리나라 기업과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우리나라는 특히나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본적으로 근면한 국민성과 높은 교육수준을 바탕으로 대기업이 앞장서고 중소기업들이 뒤를 받치는 형태의 경제성장을 굉장히 단기간에 이뤄냈다. 그러다 보니 사고방식이나 철학, 경영과 사회 분위기 모두가 지나치게 생산수단의 소유와 자본에 집중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이런 분위기에 경종을 울리고 앞으로 미래를 읽어내는 창조적인 인재와 이런 인재들이 커갈 수 있는 환경을 갖추지 못한다면 결국 미래를 주도하지 못할 것이라는 위기감을 안겨준 것은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미래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본다.

 다소 엉뚱하고 독특한 사람들을 보듬어 안고, 그들의 성공을 도와주며, 여러 기업체와 사람들의 협업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개방적인 문화를 하루 빨리 받아들여 기존의 우리나라 발전을 이끌어낸 장점과 융화시키는 노력을 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머지않아 세계적인 혁신기업이 나오지 않을까.

정지훈 관동대 의대 명지병원 융합의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