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방사성폐기물장 착공' 일본 성공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 지난달 23일 `방사성폐기물 처분 정책에 대한 한.일 협력 포럼`에서 김재일 독일 뮌헨공대 핵화학 교수(왼쪽에서 둘째)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1985년 일본 롯카쇼무라촌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설치 반대운동 격화, 1990년 한국 안면도 사태 발생'.

'1992년 일본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매설시설(원전수거물관리시설) 착공, 2005년 한국 현재까지 부지 선정조차 못하고 표류 중'.

비슷한 시기 원전수거물관리시설 선정 문제를 놓고 똑같이 진통을 겪었던 두 나라가 지금 이처럼 다른 모습을 보이는 원인에 대해 양국 전문가가 모여 심층적인 토론을 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달 23일 산업자원부 주최, 한국수력원자력㈜ 후원으로 서울 서초동 외교센터에서 열린 '방사성폐기물 처분 정책에 대한 한.일 협력 포럼'. 주제 발표자로 일본원연㈜ 매설사업부 니시무라 요이치(西村洋一)부부장, 도쿄 공대 도리 히로유키(鳥井弘之.원자로공학 연구소)교수, 중앙일보 경제연구소 곽재원 부소장 등이 참석했다.

니시무라 부부장은 일본에서 원전수거물관리시설이 성공적으로 설치된 이면에는 "시의 적절한 대국민 홍보"가 있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도 후보지 선정 당시 체르노빌 원전사고가 터지는 바람에 반대 운동이 심했지만 공청회 등 즉각적인 정보공개로 주민을 설득했다"는 것이다. 특히 해당지역에 국가연구소를 세웠으며 일본원연 본사를 이전하고 사장을 포함한 직원들이 직접 옮겨와 살았던 것도 지역사회에 신뢰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도리 교수는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선 과학뿐 아니라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가진 전문 '커뮤니케이터'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원활한 문제해결을 위해 우리나라 언론이 해야 할 바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곽재원 부소장은 "지금 한국 사회는 '안전사회'에서 '안심사회'로 가는 단계"라며 "안전핀이 꽂혀있는 수류탄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머리맡에 있으면 불안해할 사람들을 '안심'까지 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일방적으로 '안전하다'는 정보를 주입하기만 했던 그간의 홍보 방식에서 탈피, 주민들을 정책 투자자로 끌어들여 함께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필규 기자 <phil9@joongang.co.kr>
사진=신인섭 기자 <shini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