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인준 불투명 … 다른 후보자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김태호 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준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다른 장관·청장 후보자들의 거취 역시 복잡한 고차방정식이 되고 있다.

청문회가 한창 진행 중일 때만 해도 “한 사람의 낙오자 없이 모두 함께 간다”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 기류는 악화된 국민여론과 한나라당 내부 반발에 부닥쳐 지난 26일 이미 한 차례 궤도를 수정했다. ‘김 후보자를 어떻게든 사수해 국회 본회의 임명동의를 받고, 그럴 경우 청문회에서 논란이 크게 됐던 장관 후보자 한두 명은 이 대통령이 내정을 철회할 수도 있다’는 쪽이다. 김 후보자의 국회 본회의 임명동의안이 통과된 뒤 이명박 대통령이 ‘결단’의 형식을 빌려 야당이 지목한 ‘부적격 후보’ 중 일부를 정리하는 시나리오인 셈이다.

민주당 등 야당에선 유정복(농림수산식품부)·박재완(고용노동부)·이재오(특임) 장관 후보자를 뺀 나머지를 모두 부적격자로 규정하고 있다. <표 참조>


이 중 ‘주요 낙마 타깃’으로 지목받고 있는 이재훈(지식경제부)·신재민(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와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 등에 대해선 청와대 내에서도 “누가 1순위고, 누가 2순위”라는 이야기들이 공공연하게 떠돌았다.

하지만 청와대가 구상한 이런 수순에 27일 오후가 되면서 변수가 생겼다.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과 함께 찍은 사진이 공개되면서 청와대가 모든 구상의 출발점으로 삼았던 김 총리 후보자의 거취 자체가 유동적이 됐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와대를 비롯한 여권 관계자 사이에선 “국정에 미칠 피해의 최소화를 위해선 총리 후보자 한 사람만 낙마하는 게 낫다” 또는 “총리 후보자가 낙마하면 다른 후보자도 버티기 어려울 것”이란 새로운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

경우에 따라선 김 후보자의 희생으로 나머지 후보자들이 극적으로 회생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고, 아니면 총리 후보자와 문제된 후보자들이 함께 무더기로 물러날 수 있다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이날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에서 7~8명의 의원들이 ‘총리 후보자+문제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한 것도 변수다.

◆“공정한 사회는 일상생활에서부터”=이 대통령은 27일 확대비서관회의에서 “공정한 사회를 위해선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며 “실천은 정책을 마련할 때와 일상생활을 할 때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일상생활에서도 공정사회에 걸맞은 행동을 하는지 스스로 되돌아봐야 한다”며 “나부터 돌아보겠다”고 했다. 청와대는 ‘원론적 언급’이라고 강조했지만, 내부에선 이 대통령의 발언이 총리·장관 후보자의 거취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서승욱·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