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과 상생협력해야 국책사업 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4면

국책연구사업에서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이 중요 평가 기준이 됐다. 기술과 자금력이 좋아도 중소기업과 상생협력을 하지 못하는 대기업은 국책사업에 끼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지식경제부가 2일 발표한 ‘세계시장 선점 10대 소재(WPM)’ 사업단 선정이 첫 시험대가 됐다. WPM은 2018년까지 1조원을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소재산업 10개를 육성하는 국책사업이다.

새 잣대는 ‘고에너지 2차전지용 전극소재’ 분야에서 이변을 일으켰다. 이 과제에서는 LG화학이 이끄는 컨소시엄과 삼성SDI·SK에너지 컨소시엄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업계에서는 제너럴모터스(GM)를 비롯해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들과 2차전지 공급계약을 체결한 LG화학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 보니 삼성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됐다.

승패는 중소기업 참여 보장 부문에서 갈렸다. 지경부 한 고위 관계자는 “LG화학은 컨소시엄 규모가 굉장히 작았고 참여한 중소기업도 많지 않았다. 삼성 컨소시엄은 기술력은 약간 떨어지지만 중소기업에 대한 배려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평가는 앞으로 국책사업에서 기술력보다 상생협력을 더 강조하겠다는 정부의 의지 표현으로 해석되고 있다. 대기업 상생협력 강조 기간에 LG화학이 본보기로 걸렸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지경부 우태희 주력산업국장은 “모든 연구개발(R&D) 평가 시 중소기업 참여가 중요하게 고려되며 WPM 사업도 6월 평가 항목을 발표할 때부터 중소기업 참여율을 중시하겠다고 명시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LG화학 관계자는 “2차전지 분야에서 컨소시엄을 어떻게 구성하느냐는 기업의 전략”이라고 말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