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인준 청문회 진통 예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장상(張裳)총리서리 아들의 미국 국적 문제에다 송정호(宋正鎬) 전 법무부 장관과 청와대의 갈등설, 이태복(泰馥)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다국적 기업의 교체 압력설' 제기 등으로 7·11 개각 후유증이 확산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오는 29, 30일께 실시될 총리 인사청문회에서 張총리서리 장남의 한국 국적 포기, 張총리서리의 학력 허위 기재 논란 등을 집중적으로 따질 방침이어서 총리 인준 과정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관계기사 3면>

한나라당은 또 宋·전장관 문제에 대해서도 국회 법사위·보건복지위 등에서 강력히 추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김대중(大中) 대통령의 임기말 국정 운영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남경필(南景弼)대변인은 12일 "'총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으면 아들의 한국 국적을 포기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張총리서리의 발언은 그의 국가관과 상황 인식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인사청문회에서 짚고 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張총리서리는 "아들이 한국 국적을 취득할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1일 총리실이 배포한 張총리서리의 이력서에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으로 돼 있으나 실제로는 프린스턴대학과는 관계가 없는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것으로 확인돼 학력 허위 기재가 아니냐는 논란도 일고 있다.

宋전장관 문제와 관련, 한나라당 서청원(徐淸源)대표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청와대가 대통령 아들들의 비리를 축소·은폐하기 위해 宋전장관에게 수차례 압력을 가했으나 듣지 않자 보복성 개각을 한 것"이라며 "국회 법사위 등에서 경위를 철저히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徐대표는 또 "이태복 전 장관이 다국적 제약회사의 압력에 의해 교체됐다고 주장한 만큼 이 문제도 보건복지위에서 진상을 철저히 규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김대중 대통령 차남 홍업(弘業)씨에게 '용돈'을 줬다는 신건(辛建)국가정보원장과 임동원(林東源)대통령 외교안보통일특보의 유임에 대해 "국정쇄신 요구를 묵살한 것"이라고 비난하고, 두 사람을 업무상 횡령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