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同床異夢' 개헌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의 개헌론은 또 다른 대안론이다. 노무현 후보로는 어렵다는 주장에 기초한다. 주로 반(反)노무현그룹이 그렇게 주장한다. 그렇다고 그들이 전부는 아니다. 권력핵심 일각의 생각도 반영된 듯하다. 그렇지 않고는 개헌론이 그렇게 조직적으로 부상하기 어렵다.

민주 일각 "새 후보 필요" 공감대

개헌론은 새로운 후보를 내세우자는 발상이다. 그렇더라도 또 다른 영남후보는 아니다. 영남후보론은 용도폐기됐다는 주장이 많다. 지방선거 결과가 그랬다. 따라서 정몽준·박근혜 의원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랬다면 개헌론으로 우회할 필요가 없었다. 더군다나 鄭의원은 개헌에 부정적이다.

개헌론은 연합전선론이다. 반이회창 연대론이다. 그러자면 대안의 성격도 달라진다. 연대 세력의 구심점 역할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우선은 튀는 사람보단 무난한 사람이 낫다는 것이다. 포용력이 필요하다. 부족한 대중성은 연대세력이 보충해 주자는 발상이다. 대신 이회창 후보와 자질로써 겨룰 수 있는 후보여야 한다. 실은 김홍일 의원도 얼마 전 이런 말을 했다.

"아버지(DJ)는 함께 일을 해봤던 사람을 선호할 겁니다." 벌여 놓은 일을 마무리해줄 사람을 찾는다는 얘기였다. 원론적 얘기지만 의미있는 얘기다.

그래서 일각에선 이홍구 전 총리와 고건 전 서울시장, 이한동 총리 얘기를 한다. 노무현 후보와는 전혀 다른 유형의 인물이다. 구여권 출신이기도 하다. 그들을 차례로 접해봤다. 먼저 이홍구 전 총리.

이수성 전 총리와 장기표씨 등 원로, 재야그룹 일각에서 그를 적극 추천한다. 국민후보 추대론까지 나온다. 그러나 본인은 완강하다. 다시 정치에 발을 들여놓지는 않겠다고 했다.

"현실을 무시한 발상은 환상이에요."

그는 좋은 후배가 있다면 밀어줄 생각은 있다고 했다.

민주당 내에선 고건 전 서울시장 얘기가 가장 많다. 그러나 高씨 본인이 소극적이다.

"내가 대안으로서 후보가 되는 일이 있으리라고 생각지 않아요."

본인이 나서지는 않을 거란 얘기였다.

남는 사람은 이한동 총리. 앞서의 두사람과는 사뭇 반대됐다. 여전히 대권의 꿈을 접지 않고 있었다.

"8·8 재보선 뒤엔 상당한 변화가 있지 않겠어?"

재경선을 기정사실화하는 듯했다. 그 때를 노리고 있었다. 그러나 주변의 추천 강도가 낮다. 그의 지지도는 10%대에도 못미친다. 그것으론 명함조차 내밀기 어렵다. 그렇지만 그것은 경선 이전의 노무현씨와 다를 바 없다. 총리는 자기도 가능하다고 믿는 것 같았다.

"이원집정제든, 내각제든 하면 되는것 아닌가?"

그가 제시할 카드는 개헌이었다. 민주당의 최근 움직임과 맞아떨어진다. JP의 합류도 염두에 둔 듯했다. 결국 대안으로 거명되는 세 사람의 입장과 주변상황은 각기 달랐다. 문제는 개헌론자들의 생각이다. 노무현을 함께 반대할 순 있다. 그러나 대안에 대한 생각은 다를 수 있다. 특히 이인제씨의 생각은 또 다르다.

害 따라 代案제시는 제각각

관건은 DJ의 의중일 것이다. 그러나 드러낼 수 없다. 그럴 경우 노무현 후보가 음모론을 제기할 차례다. 반DJ를 자극하는 측면도 있다.

개헌론. 겉은 권력구조를 바꾸자는 주장이다. 그러나 속은 후보를 바꾸자는 발상이다. 다만 그 밑에는 서로 다른 이해가 숨어 있다. 서로 다른 꿈을 꾸고 있다. 과연 그들의 꿈이 이루어질까. 꿈보다 해몽이 앞서는 게 개헌론이다.

정치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