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P 회동…내각제 고리 '新3당합당설' 고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 중도개혁포럼(회장 鄭均桓)의 내각제 공론화 이후 범여권을 하나로 묶는 정계개편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민주+자민련+민국당+α'가 내각제나 이원집정부제 개헌을 고리로 통합하는 '신(新)3당 합당론'이 그 골자다. 시기는 민주당이 순회경선에 돌입하기 이전인 2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당 논의에는 '이대로는 이회창 대세론에 속수무책'이라는 현실인식이 깔려 있다.

민주당 정균환 의원, 김한길 전 문화관광부장관, 쇄신연대의 맏형격인 정대철(鄭大哲)고문 등이 전면에 나서고 있다. 외연 확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민련 김종필 총재와 민국당 김윤환(金潤煥)대표도 긍정적이라고 한다.

이미 이들간에는 지난해 말께부터 통합의 대체적인 밑그림에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소수파인 자민련과 민국당이 4월 20일로 정해진 민주당 경선에 참여하는 쪽으로 의견을 좁힌 듯하다.

정균환 의원은 최근 이인제(李仁濟)고문을 만나 "민주당 경선일정과 방법을 바꾸지 않고 자민련과 민국당을 끌어들이는 것"이라고 설득했다고 한다.

김윤환 대표도 당초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부총재를 제3후보로 생각해왔으나 "최근에는 이수성(李壽成)전 총리 등을 내세워 3당통합 후 경선에 참여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안다"고 여권 핵심관계자는 전했다.

김한길 전 장관도 최근 민주당내 차기주자들 및 한광옥(韓光玉)대표와 연쇄접촉해 일부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어냈다. 金전장관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추진한 일"이라고 주장하지만 청와대와의 교감설도 제기되고 있다.

당초 쇄신연대 의원 일부와 한나라당 비주류 세력을 엮어 개혁신당창당을 모색해온 정대철 고문도 김윤환 대표 등을 만난 뒤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에 대해 민주당 차기 주자들은 대부분 소극적 내지 부정적이다. 자민련과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 동거→별거→동거를 반복하는 정치행위에 대한 반대여론이 따갑기 때문이다.

3당이 4월 20일까지 지분협상을 마무리하기도 쉽지 않다. 때문에 대부분의 민주당 인사들은 "합당론은 도상연습으로 끝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반(反)이회창 연대에 대한 공감대가 있는 만큼 민주당 대선후보가 선출된 뒤 합당 및 정계개편 논의가 새로 불거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강민석 기자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