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 해양대 총장 우더싱 “한·중 서해 공동연구로 기후변화 대처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중국과 한국 양국이 황해(서해)에서 공동 연구할 분야는 수리 등 다양하지만, 특히 양국의 섬이나 해안 지역에 해상기후관측소를 공동 설치해 난류 문제를 연구해야 한다. 그동안 양국이 황해의 난류 문제를 각자 연구했지만 구체적 수치에 근거하지 않은 추측성 연구여서 결과가 고르지 않았다. 양국이 공동 관측하고 정보를 교환하면 연구가 더욱 발전할 것이다.”

우더싱(吳德星·57·사진) 중국 해양대 총장은 최근 서울에서 인터뷰에 응하면서 서해의 환경문제를 특히 강조했다.

그는 “환경 변화와 오염에 대한 바다의 자체 정화 능력, 생태 환경 등이 문제”라며 “해상에 있는 대기과립물은 태양광 복사를 막아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해상관측소를 세워 이를 연구하고 공동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국 정부가 2007년 교육부 직속 73개 대학에 대해 도입한 새로운 교수 제도와 직무평가제의 성과도 소개했다. 해양물리학자인 우총장은 한국국제교류재단 초청으로 한국 대학·연구소와 협력 확대를 위해 지난달 19~23일 방한했다. 우총장은 2000년 한국정부로부터 ‘보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한중 양국이 어떤 해양 연구를 공동으로 할 수 있는지.

“양국이 공유하고 있는 황해의 환경·자원에 대해 한국 대학·연구소와 공동연구를 하고 싶다. 그동안은 양국 교수들이 개인 차원에서 공동연구를 했지만 이번 방한 기간에 고려대·한국해양연구원과 기관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합작하는 방안을 협의했다.”

-서해에는 해양자원이 많다. 한·중·일이 서로 다투지 않고 공동 개발하는 방법은.

“분쟁은 국가의 권익에 관한 것이니 국가가 해결할 문제다. 대학은 과학기술과 지식을 다루면 된다. 과학에는 국경이 없다. 황해에는 석유 자원,생물 자원, 재생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다. 특히 재생 에너지를 충분히 활용한다면 인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중국 교육부가 교육부 직속 73개 대학에 도입한 새 교수 제도는.

“전에는 교수 등급이 전임교수·부교수 등 4개로 구분돼 있었지만, 새 제도는 등급마다 3개 단계씩 나눠 12개로 세분화했다. 중국 교수 급여는 기본급과 성과급으로 구성되는데, 등급에 따라 기본급이 달라지고 성과급은 연구실적·교육 기여도에 의해 결정된다. 4년마다 연구실적·교육기여도를 평가해 등급을 조정한다. 실적이 나쁘면 내려갈 수도 있다.”

-각 대학에선 이 제도를 어떻게 운영하나.

“정부는 큰 틀만 결정했고 세부 운영방안은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다. 평가방식은 대학 사정, 학문 영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나는 교수가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사회에 기여한 점을 평가해서 대우를 개선하려고 한다.”

-교수 사회의 반응은.

“처음에는 일부 이견이 있었지만 지금은 엘리트 양성 대학들을 만들겠다는 취지를 받아들이고 있다. 성과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직무 성과제 도입 뒤 교직원들이 자신의 의무와 책임을 더 잘 알게 된 것 같다.”

글=오대영 선임기자, 사진=강정현 기자

◆중국 해양대=1924년 칭타오(靑島)에 설립된 대학으로 학생 수는 3만 명에 이른다. 중국 정부가 1990년대부터 추진 중인 ‘210 프로젝트(21세기에 100개 대학 집중 육성)’와 ‘985 프로젝트’(38개 세계 최고 학과 육성)‘의 예산을 받는 교육부 직속 국가 중점 연구지원 종합대학이다. 식물학·동물학·지구과학 등 3개 분야의 논문 실적은 세계 1% 이내에 든다. 92년부터 한국어과를 운영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