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T산업 '정보화' 힘입어 자리굳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내 정보통신기술(IT)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IT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전반적으로 일본보다 앞서 있으며 미국과도 비슷한 추세로 나가고 있다.

◇ 국내 IT산업=1998년 말 3백10만명과 1천3백만명, 지난해 1천만명과 2천3백만명, 지난 5월 말 1천5백만명과 2천7백만명. (인터넷 이용자와 휴대폰 가입자)

정보통신부는 올해 말 인터넷 이용자는 2천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98년부터 가위 폭발적인 성장추세다. 이는 경제지표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IT산업의 부가가치는 97, 98년 국제통화기금(IMF)관리체제 아래서 주요 산업이 감소한 반면 18%나 증가하는 등 기록적인 성장추세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IT비중이 97년 이후 매년 0.3~0.5% 증가율을 나타내 올해엔 11%선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GDP 성장에 기여하는 정도(IT 부가가치 증분/GDP 증분)도 15%에 이른다. 특히 무역수지 흑자(총 수출)기여도는 98년 29%(23%)에서 지난해 56.1%(28%)로 크게 올랐다.

◇ 왜 그런가=국가정보화 정책이 우선 꼽힌다. 정부는 ▶국가기간전산망(87~92년)▶초고속정보통신기반(95~2010년)▶사이버코리아21(98~2002년) 등 꾸준히 국가 통신인프라를 구축해왔다.

올해부터는 초.중.고교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깔고, 주부나 장노년층에 무료 인터넷 교육을 실시하며, 값싼 인터넷PC(일명 국민PC)를 보급하는 등 국민 정보화에 나서고 있다.

정통부의 김동수 정보화기반심의관은 "처음엔 일본보다 앞서가는 통신 인프라정책에 비판적인 시각도 있었으나 지금은 국가 경쟁력의 기반이 됐다" 고 설명했다.

경제 구조조정 바람도 무시하지 못한다. 우리나라는 IMF관리체제를 거치면서 기존 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신 산업으로 IT를 잡았다.

윤창번 KISDI 원장은 "물론 최근 거품론이 일기는 하지만 국내외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IT를 한국의 경쟁력으로 제시한다" 고 강조했다.

골드먼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은 통신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강해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IT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 이라고 진단했다.

◇ 외국은 어떤가=지난 5월 발표된 미 상무부 디지털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IT산업은 GDP의 8.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보고서는 또 1995년 이후 미국 GDP 성장률의 3분의 1이 IT 산업덕에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미 경제의 생산성 증가율은 IT덕에 95~99년 연평균 2.8%를 기록했으며 이는 73~95년 1.4%의 2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중 95년부터 생산성 증가율의 IT분야 기여정도는 50% 이상이었다.

컴퓨터 가격은 87~94년 연 12%, 95~99년 연 26%가 급락했는데 이같은 IT관련 상품 가격하락은 전체 인플레 억제효과도 가져왔다. 보고서는 IT가 94~98년 연 0.5%의 물가하락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IT분야 투자도 활발해 98년 4백48억달러로 기업 기술개발 투자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일본에서도 IT의 경제적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IT관련 투자액은 20조엔(실질기준)에 달했다. 이는 10년새 두배로 늘어난 규모다.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IT의 비중도 PC.휴대폰의 보급이 본격화한 1995년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 99년엔 3.3%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엔 전체적인 소비지출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IT분야의 지출은 오히려 전년에 비해 10.4%나 늘었다.

이는 경기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해 민간기업설비투자에 대한 IT분야의 기여도는 0.7%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중 비IT분야는 마이너스 5%나 됐다.

또 자본스톡에 대한 IT의 비중도 1995년 이후 서서히 높아져 99년엔 13%에 육박했다.

도쿄=남윤호 특파원, 이원호.홍수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