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협상은 왜 하며 어떻게 하나 <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미국의 경제학자 루이 암스트롱은 어린이들의 협상 교육을 위해 '전쟁과 평화'(How turn War into Peace, (1979) 라는 동화를 썼다.

이 동화는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가 해변에서 모래성을 쌓으며 놀다가 둘 사이에 영토 분쟁이 일어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둘이 계속 다투자 제3의 어린이가 나타나 협상 방법 세 가지를 제시한다. 둘 다 영토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패-패 게임, 한쪽이 양보하지 않는 한 전쟁을 해야 하는 승-패 게임, 둘 다 영토를 사용할 수 있는 승-승 게임 방법이었다.

두 아이는 결국 승-승 게임을 받아들여 다시 친한 친구가 된다. 어린이들은 대개 동화의 주인공들처럼 다투면서 자란다.

이럴 때 승-승 게임 협상 방법을 가르치면 자기 성숙의 기회가 된다. 남북한 이산 가족 상봉과 의약 분업 두 가지 주제를 놓고 협상 체험을 해본다.

1.남북한 이산 가족 상봉을 위한 협상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이산 가족 상봉의 큰 원칙은 합의했으나 세부 사항은 언급되지 않았다. 다루어지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협상 활동을 해보자.

◇ 협상 준비

①학생들의 의사를 물어 남한과 북한의 입장으로 나누고 양측의 수석 대표를 선발한다.

②수석 대표는 자기 측과 협의해 협상 내용 10가지 정도를 정한다.

(예〓상봉 일수, 휴대 가능한 물품과 돈의 한도, 여행 및 활동 범위, 교류 지속 문제, 희망에 따라 한 곳에 모여 살 수 있는 방안 등)

③협상 주제의 수에 맞게 학생 전원이 참여하는 자문위원단을 설치한다.

④자문위원단은 협상 대표단이 협상에 필요한 자료를 모으고 구체적인 안을 제시한다. 북한 자료는 신문이나 인터넷의 북한네트(http://nk.joins.com) 등에서도 찾을 수 있다.

⑤협상 대표단은 원만한 협상 진행을 바라는 기조연설문을 작성한다.

◇ 협상 활동

협상은 보통 3차에 걸쳐 진행하되 필요한 경우 한 차례 더 갖는다.

①양측 대표는 기조연설문을 낭독하고 협상 내용 10가지를 발표한다.

②10가지 주제 중 먼저 협상할 내용과 협상하지 않아도 되는 내용을 정한다.

③1차 협상에서는 이견이 있는 사항과 이견이 없는 사항만을 가린다.

④2차 협상에서는 쟁점을 토론하고 합의점을 찾는다.

⑤3차 협상에서는 양보와 타협을 통해 2차 협상에서 합의하지 못한 사항을 합의한다.

⑥합의문을 작성하고 대표단 서명 후 내용을 발표한다.

⑦협상 활동에 대해 느낀 점을 발표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2.의약 분업 제도 시행 협상

의약 분업 시행을 놓고 벌인 의사들의 파업은 끝났지만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여기서는 갈등 자체의 해결 보다는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해결 방법을 찾아보는 활동을 한다.

◇ 협상 활동

▶입장 정하기

①협상에 참가할 의사.약사.시민단체.보건당국 등 네 개의 모둠으로 나눈다(한 모둠은 8명).

②신문 기사 등 자료를 읽고 갈등의 쟁점과 역할을 맡은 집단의 입장을 정리한다.

③모둠마다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그 근거를 마련한다. 포스터 제작.방송 광고.역할극.호소문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제시하는 대안들을 보건당국에 제안할 예정임을 알린다.

▶입장 발표

①입장 정리가 끝나면 각 모둠의 대표는 자신들의 의견을 보건당국자 앞에서 발표한다.

②보건당국은 회의를 갖고 반드시 어느 한쪽의 의견만 지지한다.

③보건당국의 결정을 듣고 각 모둠은 승-패에 대한 느낌을 발표한다. 결정 내용에 불만인 모둠에게는 앞으로 어떻게 할지 묻는다. 폐업.시위.수용 등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협상

①만족스런 방향(승-승)으로 문제를 풀기 위해 협상 방법을 제의한다.

②문제 해결에 참가할 네 개의 모둠을 다시 의사.약사.보건당국.시민 등 네명으로 구성한 모둠으로 재편한다(8개 모둠).

③모둠원끼리 3차에 걸쳐 협상한다.

1차 협상에서는 의사.약사.시민단체.보건당국이 각자 자신의 입장을 설득한다.

2차 협상에선 타협안을 제시한다.

3차 협상에선 합의점을 찾기 위해 양보와 타협을 시도한다.

④협상이 타결된 모둠은 합의안을 작성한다.

⑤제한 시간이 되면 협상을 종료하고 그때까지 합의한 내용 중 가장 합리적인 의견을 고른다.

이태종 기자

※도움말 주신 분〓유충열 인천 인화여중 교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