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 냈던 창원 대동주택 회생길 접어들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지난 1월말 부도를 냈던 경남 창원 대동주택(회장 郭正煥)이 주변의 눈물겨운 도움으로 회생의 길에 접어들었다.

3개월 만에 화의 인가를 받았으며 모든 현장의 공사가 재개됐다. 공사가 중단됐던 2천여가구의 아파트도 이달초 준공됐다. 다음달 말에는 김해 장유신도시 등 3천여가구의 아파트가 입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공사 수주도 활발하다. 이달 들어 부산지하철 광안정거장 통신공사를 수주했으며 1천여가구의 아파트 공사도 따냈다. 부도 이후 협력회사의 공사대금 6백19억원 중 1백43억원을 지급할 정도로 자금력도 회복됐다.

발 빠르게 악몽에서 벗어나는 대동의 뒤에는 협력업체.경남도청.금융기관.노조 등의 '대동 살리기' 운동이 있었다.

특히 2천8백여개 협력업체들의 노력은 인상적이었다. 모기업의 유동자금 마련을 위해 T건설 河모(52)사장은 자녀들의 적금 통장을 해약하고 노후자금 등을 모아 2억원을 내놓았다.

S건설 金모(62)사장은 아들의 유학자금 등을 털어 3억여원을 만들었다.

P건설 李모(48)사장은 부모 집을 담보로 대출받고 처형 집의 전세금을 뽑아 2억여원을 만들었다. 부도를 전후해 이렇게 모은 돈이 1백50억원.

대동협력업체협의회 이연호(李年鎬.44)대표는 "대동주택이 자금사정이 나빠지기 전까지 매달 현금결제를 해주고 뒷거래를 하지 않는 등 협력업체와의 사이에 쌓인 믿음이 힘을 발휘한 것" 이라고 설명했다.

노조도 임금을 동결하고 연 7백%이던 상여금 중 6백%를 반납했으며 회사측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도내 최대 건설업체의 부도가 나자 경남도는 대책회의를 10여차례 열었다. 여기서 대동 및 협력업체에 대한 자금지원과 체납세금 유예 등 조치들이 나왔다.

대동의 평소 투명한 경영행태를 인정받은 것이라는 해석들이었다.

기업은행 마산지점은 협력업체들에 최고 1억5천만원까지 저리로 빌려주는 등 경남신용보증조합.신용보증기금의 자금지원이 계속됐다.

경남중소기업청은 협력업체 중 제조업체에 최고 3억원을 장기저리로 빌려주고 있다. 창원세무서는 협력업체들의 부가세 납부를 연장해 줬다. 경남도의회.창원시의회는 '대동 살리기'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하고 한국토지공사 경남지사는 땅값 납부기한을 늦춰줬다.

창원〓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