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식품 관리기구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유해성 논란을 빚고 있는 유전자 조작식품(GMO)의 국제적인 관리체계 확립이 가시화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성을 일단 인정하면서도 만일의 가능성에 대비해 연구.자료수집.감시활동을 강화하고 비정부기구(NGO)의 안전성 확인과정 참여를 확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7일 G8(서방선진7개국+러시아)에 유전자 조작식품의 안전성 문제를 다룰 국제위원회의 설치를 제안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OECD는 오는 7월 21~23일 일본 오키나와(沖繩)에서 열릴 G8 정상회담에서 위원회 설치를 정식 제안할 예정이다.

OECD는 전세계의 정부.산업계.과학자.소비자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이 위원회에서 공개 토론을 갖고 유전자 조작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할 통일된 국제기준을 마련할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OECD의 국제위원회 설치 제안은 지난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영국 에든버러에서 OECD의 지원으로 열린 유전자 조작식품 관련회의의 의장을 맡았던 영국 과학자 존 크렙스의 보고서가 촉매구실을 했다.

이 보고서는 "현재까지 유전자 조작식품이 인간 건강에 해를 입힌 사례가 보고된 적이 없다" 면서도 "이같은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은 세계 전역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며 지속적인 연구.감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앞서 미 국립과학원(NAS)산하 국립연구위원회(NRC)는 지난 5일 유전자 조작 곡물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어떤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으나 이 곡물들이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NRC는 2백60쪽 분량의 보고서에서 유전자조작 식물을 규제하는 관계기관들에 "유전자조작 작물이 보건.환경에 미칠 영향을 감시.연구하고 각종 검사와 규제절차의 신뢰성을 높일 방안을 포함한 완전한 식품안전체계를 확립하라" 고 촉구했다.

지난달 21일엔 그린피스.시에라클럽 등 53개 환경.소비자.농민단체의 지원을 받는 민간조직인 식품안전센터가 미 정부에 안전성이 입증될 때까지 유전자변형(GM)식품의 미국내 시판을 금지해 달라는 청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 유전자 조작식품〓육종을 통한 종묘개량이라는 전통적인 유전학 응용기법과 달리 분자생물학을 이용해 다른 종(種)의 유전자를 이식하는 첨단유전공학 기법으로 맛.향기.신선도.보관성.생산성을 향상시킨 작물을 말한다.

미국은 이를 거의 규제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3천만㏊의 농경지에서 유전자 조작작물을 대량 재배하고 있다.

지난해 수확한 콩의 47%와 옥수수의 37%를 차지할 정도.

하지만 유럽연합(EU)국가들은 유전자 이식기법으로 생산한 작물이 새로운 식품안전.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환경단체 등의 주장을 받아들여 시장판매를 불허하고 있다.

이 문제는 양 진영의 무역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채인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