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불공정보도 추궁…중앙일보 지국 조사도-KBS·공정위 국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중앙일보의 무가지(無價紙)배포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8일 확인됐다.

이는 공정거래위를 상대로 한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것이며, 정부가 공정거래위까지 동원해 중앙일보를 탄압하고 있다는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한편 문화관광위의 KBS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들은 중앙일보 탄압사태와 관련한 불공정 보도 문제를 추궁했다.

◇ 정무위〓오성환(吳晟煥)공정거래위 경쟁국장은 '중앙일보 서울 강남지역 8개 지국 조사' 여부에 대한 김영선(金映宣).이사철(李思哲)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들의 질의에 "(무가지 배포가)언론에 보도가 나오고 이슈화됐기 때문에 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했다" 고 밝혔다.

吳국장은 "지난 4일 동아일보 분당지국장이 전화와 팩스로(무가지 배포)신고해 왔다" 면서 "분당지역엔 전화조사만 했고, 강남지역엔 직접 나갔다" 고 말했다.

이사철 의원은 "지난 6일 국민회의 이영일(李榮一)대변인이 공개질의에서 '중앙일보가 무가지 공세와 경품살포 등 불공정거래를 하고 있다' 고 일방적인 주장을 하고 난 다음날 공정위가 전격적으로 조사를 나갔다" 며 "중앙일보를 때리기 위해 나간 것이 아니냐" 고 조사착수 배경에 의혹을 제기했다.

李의원은 "공정위가 정무위에 제출한 팩스 문건은 수신날짜가 96년으로 돼있다" 며 실제로 신고가 이뤄졌는지에 대한 의문을 표시했다.

이에 대해 국민회의 채영석(蔡映錫)의원은 "집권당이 문제를 제기하면 (공정거래위는)관심을 가져야 한다" 고 주장했다.

◇ 문화관광위〓한나라당 이경재(李敬在).박종웅(朴鍾雄).조익현(曺益鉉).남경필(南景弼)의원 등은 KBS가 정부와 국민회의측의 주장은 중점적으로 보도한 반면, 중앙일보측의 입장과 반론은 거의 반영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박종웅 의원은 "KBS가 '조세포탈 수사' '청와대에 대한 협조 제의설' '국정홍보처의 국제언론인협회(IPI)에 대한 유감서한' 등을 보도하면서도 중앙일보가 녹취록까지 풀어 고백한 권력의 구체적인 탄압사례에 대해선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고 지적하고 "이같은 보도태도에 정권의 압력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 고 물었다.

이에 대해 박권상(朴權相)사장은 "외압은 없다" 고 부인했다.

*** 무가지란

신문사지국이 신규독자 확보를 위해 비독자를 대상으로 배포하는 홍보차원의 무료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각 신문사는 지국에 유가부수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무가지를 제공한다. 무가지제도는 한국 신문업계의 관행으로 각사가 이를 활용하고 있다. 신문사들은 과당경쟁을 막기 위해 신문공정경쟁 자율규약을 만들어 유료구독부수의 20%이내에서 무가지를 활용토록 하고 있다.

전영기.이정민.박정호.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