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지도] 6. 지역주민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시민단체들은 올해를 지역주민운동이 30주년을 맞는 해로 평가한다. 심훈의 소설 '상록수' 처럼 1930년대에 농촌 계몽운동이 펼쳐지긴 했다. 그러나 보다 체계적인 주민운동이 시작된 것은 지난 69년 연세대 내에 도시문제연구소가 설립되면서부터라고 평가한다.

천주교.기독교 인사들이 주축이 돼 설립한 도시문제연구소는 얼마전 타계한 국회의원 제정구씨를 비롯해 권오경.허병선.김혜경씨 등 걸출한 주민운동가들을 배출했다.

70년대의 주민운동은 독재정권에 맞선 종교단체.운동가들이 저소득 주민 밀집지역에서 야학.탁아소.어머니교실 등을 열어 주민 생활개선을 위해 싸우는 반체제적 모습이었다.

그러나 체계적 운동이념을 바탕으로 한 대정부 투쟁형 주민운동이 막을 연 것은 '도시빈민' '빈민운동' 등의 용어가 등장한 80년대부터. 목동.상계동.신당동 등 서울 외곽지역에 대한 재개발사업이 시작되자 주민.운동가들이 연대, 격렬한 철거반대운동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주거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전국철거민연합' 등이 속속 결성된다. 또 85년엔 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기독교빈민선교위원회가 발족했다.

90년대 들어 주민운동은 일반 주민의 권익.복지로 무게 중심을 옮기며 아파트공동체운동.임대아파트 생활개선사업.주민자활지원.실업극복운동 등으로 영역을 확대했다.

특히 주민운동단체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도 90년대 주민운동의 특징. 서울 관악구 지역에서 70년대부터 활동하던 수십개의 탁아소.자활센터 등이 뭉친 '관악주민연대' 처럼 주민운동단체간 연합활동이 활발하다.

주민운동은 인천.성남 등 수도권 지역과 부산.대구 등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활동반경을 넓히고 있다.

한국도시연구소 신명호 실장은 "주민운동단체의 손길이 필요한 일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며 "단체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복합적 시민운동단체로 거듭나는 최근의 상황은 바람직한 변화" 라고 말했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