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간척사업 포기…담수호 3곳도 백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바다를 가로막아 갯벌과 습지를 농토로 바꾸는 재래식 대규모 간척사업이 모두 중단된다.

농림부는 15일 전남 목포시와 함평군 등 1개시 4개군 지역 주변바다를 메워 3만4천㏊의 농지를 조성하려던 영산강 4단계 간척사업과 함평호.무안호.신안호 등 3개 담수호 조성계획을 백지화한다고 밝혔다.

김성훈 (金成勳) 농림부장관은 이날 이같은 방침을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에게 보고한데 이어 16일 기자회견을 갖고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농림부는 또 이들 담수호에서 농업용수를 공급받기로 돼있던 기존의 상습 한해농지와 저지대 침수피해농지 1만4천㏊에 대해서는 앞으로 4~5년에 걸쳐 용수공급.경지정리.배수개선 등 종합정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농림부는 내년도 정부예산에 종합정비사업 기본조사비 20억원을 반영해줄 것을 예산청에 요청했다.

농림부는 또 이미 공사중이거나 완공된 기존 간척사업지구도 생태마을이나 생태농업 등 친환경적 개발방식으로 추진키로 했다.

농림부는 특히 유엔개발계획 (UNDP) 과 농업기술협력에 관한 협약을 맺고 '친환경간척지이용연구소' 를 설립,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친환경적 간척기술을 사용키로 했다.

한편 지난 72년부터 추진돼온 영산강 간척사업은 함평.무안.신안.영광군과 목포시 주변바다의 간척과 용수개발, 그리고 경지정리.배수개선 등을 시행하는 것으로 계획됐었으나 재원마련이 어렵고 여론반대가 심해 농림부가 백지화한 것이다.

박의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