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돈 넉넉히 푸는 확장기조 당분간 유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윤증현(얼굴) 기획재정부 장관이 당분간 돈을 넉넉히 푸는 확장적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하반기에도 지금처럼 경기 부양에 초점을 맞춰 재정·금융정책을 펼치겠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하반기에 갑자기 시중 돈줄을 조이는 일은 없을 전망이다.

윤 장관은 15일 머니투데이 초청 강연에서 “민간의 자생적인 경기 회복력이 가시화될 때까지 확장적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통화정책도 경기대응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잉 유동성 논란이 있지만 광의의 통화(M2)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고 통화 유통 속도가 줄고 있다”며 “지금은 생산적인 부분에 자금이 흘러가도록 하는 자금의 선순환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12일 기자단 워크숍에서도 윤 장관은 “경기선행지표가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지표가 분명히 있지만 낙관만 할 수 없는 불안 요소가 있어 현 단계에서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금융완화정책을 바꿀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 하강 속도가 줄었지만 아직도 하강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해 “경기 하강세는 거의 끝났다”고 진단한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11일 기자간담회)와 시각 차이를 보였다.

윤 장관은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플러스가 되더라도 여전히 전년 동기 대비로는 마이너스일 것이므로 정책 전환을 말할 단계가 아니다”면서 “원유·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문제가 있어 경제 상황은 2분기가 지나봐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장 잠재력 확충과 관련해 “토지이용·환경·기업 관련 규제를 최소화하고 각종 부담금을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노동시장 유연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우리 경제가 도약하기 어렵다”며 “임금과 근로시간을 더욱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노사정 협의를 거쳐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