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그라진 화물연대 운송거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가 사그라지고 있다. 13일 상경 투쟁을 취소했고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민주노총의 ‘화물·쌍용차 투쟁승리 결의대회’에도 불참했다. 화물연대는 “기동력을 살려 지역을 거점으로 지속적으로 투쟁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화물연대의 상경 투쟁의 목적은 세 과시였다. 그러나 회원들이 따라주지 않았다.

14일로 화물연대 운송거부가 나흘째 계속됐지만 운송거부 참가자들이 적어 부산항에서는 평소와 다름없이 수출입 화물의 반출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형화물차들이 부산항 신선대부두를 출입하고 있다. [부산=송봉근 기자]

화물연대는 종전에는 고유가에 따른 유가보조금 지급이나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같은 생활형 요구를 내걸어 차주들의 공감을 얻었다. 그러나 이번엔 생계형 요구가 아니라 노조 인정을 내걸었다. 정부가 불법으로 운송방해를 하거나 운송을 거부하면 유가보조금을 중단하거나 운전면허 정지·취소와 같은 조치를 취하겠다고 나서면서 차주들이 움츠러들었다.

◆주말 도심집회도 호응 적어=한편 시민단체와 노동계가 주말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겠다고 예고했지만 참가자가 많지 않았다. 경찰과 집회 참가자의 충돌도 없었다. 14일 오후 서울 장충체육관에선 야당·시민단체 관계자 1500명(경찰 추산)이 ‘6·15 공동선언 9주년 범국민 실천대회’를, 이날 오전엔 서울 통일연대 회원 100여 명이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의 이행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13일 오후 7시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행사와 함께 효선·미순양 7주기 추모 문화제가 열렸다. 1500명(경찰 추산, 주최 측 주장 3000명)이 참가했다. 한때 주최 측이 “6·10 범국민 대회가 평화적으로 마무리됐지만 해산 과정에서 경찰이 화풀이식 살인진압을 자행했다”고 비난해 긴장이 감돌기도 했으나 충돌은 없었다. 참가자들은 오후 9시쯤 집회를 끝내고 자진 해산했다.

장정훈·장주영 기자 , 사진=송봉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