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대 주유소들 경비절감 위해 잇따라 세차기 가동 중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부산시내 주유소에서 공짜세차하기가 힘들어졌다.

주유소들이 경비절감을 위해 잇따라 세차기 가동을 중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93년말 거리제한 철폐이후 주유소가 급격히 늘어나 부산시내 주유소는 모두 4백17곳. 이들 주유소는 경쟁이 치열해지자 그동안 두곳 중 한곳 꼴로 주차시설을 마련하고 일정금액 (보통 2만원) 이상의 기름을 넣을 경우 공짜세차를 해줬다.

그러나 최근 기름값 인상으로 기름소비가 급감, 수지맞추기가 어려워지자 설치한 업소중 절반가량인 1백20여곳이 세차서비스를 중단했다.

최근에는 1천~2천원씩 세차비를 따로 받기도 한다.

이에따라 운전자와 주유소 종업원간에 시비가 잦고 기름을 넣지 않고 돌아가는 승용차도 많아졌다.

세차서비스를 계속하는 주유소들도 무료세차를 해주는 주유금액을 5만~6만원으로 올렸다.

주유소들이 세차시설을 갖추는데 투자한 돈은 3천만 (이동식)~1억원 (터널식)가량. 대당 세차서비스 경비는 전기료.물값.인건비를 합쳐 4천~5천원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휘발유 2만원어치를 넣는 차량에 2천원을 받고 세차를 해줄 경우 주유소의 마진 (5%) 은 1천원에 불과해 1천~2천원 손해를 보게된다.

특히 과당경쟁으로 값을 내려받는 주유소의 경우 손해가 더 커지게 마련이다.

사상구주례3동 동서고가로 밑 C주유소 정영수 (鄭永洙) 사장은 "96년봄 터널식 세차기를 설치해 2만원이상 기름을 넣는 고객에게 무료 세차서비스를 해주다 2천원을 받아도 손해가 나 연말 아르바이트생을 7명에서 3명으로 줄이고 세차기 가동도 중단했다" 고 말했다.

IMF체제 이후 기름값은 올랐으나 휘발유 판매량은 20~30% 줄고 정유회사들이 기름값 외상기일을 60~70일에서 30일로 단축해 대부분의 주유소들이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

부산〓강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