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지금 파업할 때인가" 시민 단체 우려 빗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지하철은 소비자들의 것입니다.잘 관리하라고 잠시 노사(勞使)에 빌려준 지하철을 놓고 파업이라니요.” 8일 오전10시 서울중구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19층.9일로 예고된 서울지하철파업을 하루 앞두고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회장 鄭光謨)등 8개 소비자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한'지하철 노사 간담회'자리에는'지하철 파업은 안된다'는 커다란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원래 이날 오후2시 지하철공사 회의실에서 열릴 13차 단체교섭을 앞두고 노사간의 중재를 도모한다는 취지였으나 노사 양측이 자신들의 입장을 얘기하자마자“도대체 협상을 하겠다는 얘기냐 말겠다는 얘기냐”는 소비자단체 대표들의 서릿발같은 추궁이 노사 양측에 쏟아졌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이연숙(李연淑)회장은“지하철요금을 올린지가 얼마나 됐다고 파업을 한다는 거냐”고 목청을 높였다.

전통적으로 노조측에 호의적이라는 평을 들어온 대한YMCA연합회측마저“파업은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지만 지하철의 경우 안정성이나 평소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너무 높아 곤란하다”고 지적하고 나섰다.지하철공사대표 이상경(李相卿)노무처장 또한 연이어지는 소비자단체 대표들의 날카로운 추궁에 진땀을 흘렸다.

“지하철공사 직원의 임금이 얼마냐”는 질문에 李노무처장은“5갑16호봉 기준으로 1백70만원”이라고 말했다.

이에비해 노조측은“기본급 64만여원에 수당 65%”라고 답하자 당장“양쪽 얘기가 70만원정도 틀린데 협상이 될리 있는가.기준부터 통일하고 협상을 하라”는 질책이 나왔다.

또 지하철공사측이“파업때 운행대책이 준비됐다”고 설명하자“덜 숙련된 사람들이 안전대책도 없이 운전하는 지하철을 불안해 어떻게 타느냐”는 비난이 이어졌다.

노조 尹부위원장은 소비자단체들의 비난이 큰 부담이 된듯“노사간의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파업한다고 시민들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운을 뗀 뒤“노조도 파업등의 파국을 원치 않고 있다”고 말해'파업'이라는 극한상황까지 가지않을 수 있음을 내비쳤다.李노무처장 또한“파업이 일어나지 않도록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해 시민들의 발이 묶이는 사태를 막겠다”고 다짐했다. 김상우.최지영 기자

<사진설명>

만성적인 지하철 노사분규 해결에 시민이 직접 나섰다.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를 비롯,시민단체가 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지하철 노사 양측을 초청해 파업사태를 막기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주기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