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총장 선거 직원 투표권 배정 놓고 갈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오는 20일 치러질 예정인 제17대 전남대 총장선거가 직원들의 투표 참여 폭에 대한 교수.직원간 이견으로 파행을 겪고 있다.

총장선거 관리 업무를 맡은 대학 평의원회는 지난 3월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선거 일정 등을 결정했다.

이번 선거에는 모두 7명의 후보가 등록했다. 오는 20일 예선 투표와 본선 투표를 거쳐 총장 후보를 선출해 교육부에 추천한다.

전남대 직장협의회를 비롯한 직원들은 '총장 선출권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를 구성하고 그동안 6차례에 걸쳐 평의원회 측과 협상을 벌여 왔다.

공대위는 투표권의 22%를 직원들에게 보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춘모 공대위원장은 "평의원회 자체 규정만으로 치러지는 총장선거를 인정할 수 없다"며 "최소한 전남대에 17년 이상 재직한 직원들에게는 투표권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평의원회는 직원들의 투표 참여 비율을 예선투표의 7%로 제시하고, 본선에서는 상징성을 두는 정도로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수들은 직원들이 대거 투표에 참여할 경우 선거 판세를 좌우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양측이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후보들의 소견발표회와 합동토론회가 무산됐다.

대학본부가 나서 중재를 시도하고 있으나 공대위 측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투표를 막겠다는 방침이다.

후보들은 인터넷과 홍보물 등을 통해 막바지 선거운동에 힘쓰고 있다.

모두 나이가 50대이고, 대부분 대학본부의 주요 보직을 거쳤다.

후보 7명 중 박돈희 교수만 빼고 6명이 광주제일고 출신이다.

이들은 우수 신입생 유치.대학발전기금 확충.총장 소환제 도입.전략연구 프로젝트 지원체계 구축.연구중심 교수 지원.대학원 교육 강화.연구개발 활성화 등을 각각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현재 투표권을 가진 전임강사 이상 교수는 855명이다.

일반 직원 수는 400여명이다.

새 총장의 임기는 오는 8월 17일부터 4년이다.

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