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물가 뛰니 임금 올려 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물가 불안이 이어지면서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가 거세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미 5월 수입물가는 전년 동월비 44.6%나 올랐다. 1998년 3월 이후 10년2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6월 소비자물가 역시 9년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 5.5%나 뛰었다.

물가가 뛰면 실질 임금은 낮아지게 된다. 임금 인상 요구가 커지는 이유다. 임금 인상 요구는 대형 수출업체의 노조가 주도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올해 기본급 대비 7% 임금 인상을 요구했다. 이는 지난해 인상률(5.4%)보다 높은 수준이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도 6.4% 임금 인상을 요구했다.

금융업도 비교적 높은 인상률을 요구하고 있다. 산별노조인 금융산업노동조합은 총액 기준으로 정규직은 5.8%, 비정규 및 파견직은 11.6%의 임금 인상률을 사측에 요구했다. 지난해 정규직 인상률은 3.2%였다.

완성차 4개사가 주축인 금속노조는 올해 기본급 13만5000원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현대차 기준으로 기본급 대비 8.9%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기본급을 8만5000원 인상했다.

정부는 이런 임금 인상 요구가 공공부문까지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내년도 공무원 임금을 적정 수준에서 묶을 계획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아직 내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 수준과 관련해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 “경제 상황과 관계기관과의 협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결정할 계획이나 인상분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2004년 3.9%, 2005년 1.3%, 2006년 2%, 2007년 2.5%였다.

공공기관 직원의 임금도 공무원 임금에 맞춰 조정하기로 했다. 올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임금 가이드라인은 호봉승급을 포함해 3%다.

공기업은 올해 신규 직원 채용도 줄일 계획이다. 14일 인크루트가 주요 공기업 19개사를 대상으로 상반기 대졸 신입 사원 채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신규 채용 인원은 총 83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475명에 비해 43% 줄었다.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