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원 활동비 카드 지불 새풍속-선거 돈쓰기 양상 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선거운동의 돈 쓰기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정당 소속 후보들의 경우 선거운동 기간은 아니지만 명목상으로는 당원을 상대로 활동을 한다며 사실상의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이번 선거전에서는 지금까지 현금으로 지급됐던 활동비가 신용카드 형태로 바뀌는 곳이 많아 눈길을 끈다.
운동원들은 5~6명의 사랑방 좌담회에서부터 수백명씩 모이는 선심관광에 이르기까지 「당원단합대회」명목으로 사실상 유권자를 상대로 지지를 호소하고 여기에 사용되는 음식값.다과비.관광차 임대료등을 신용카드로 지불하는 경우가 급속히 늘어 나고 있다는것이다. 영남지역에서 출마준비중인 야당의 한 재력가 후보는 10개 읍.면에 3명씩의 책임자를 임명,모두 30명의 공조직원을배치하고 있으며 이들에게 모두 은행카드를 지급했다.
5백만~1천만원을 지급하는 사례비와는 별도로 활동비를 카드로사용하라고 준 것이다.
선거운동기간을 3개월 정도로 잡아 운동원 1인당 평균 1천만원 정도 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물론 영수증을 반드시 받게돼 있는 카드로 충당할 수 없는 돈은 따로 현금으로 지급한다.
이밖에 동창회나 동갑계등 사조직 활동가는 공조직원보다 수가 훨씬 많고 득표효과가 더 좋다고 보고 이들에게도 선별해서 카드를 지급하고 있다.
혹시 있을 불법선거비용 시비를 우려해 개인이름으로 카드를 발급해 준다.
회식비용등을 카드로 지불하고 영수증을 가져오면 돈의 용도도 확인할 수 있어 후보입장에서는 자금 누수율이 그만큼 줄어든다.
예전엔 1백만원짜리 현금 묶음을 몇 뭉치씩 줘야했고 그나마 그돈을 어디에 쓰는지도 잘 잡히지 않아 후보마다 속앓이를 했다. 그러나 아직도 시골에선 카드를 받지 않는 곳이 많기 때문에도시지역에서 카드사용이 많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