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 도핑 테스트, 아마보다 못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한국형 외국인 투수’로 인기를 끌었던 리오스가 도핑 파동에 휩싸이면서 스포츠계에 비상이 걸렸다. 그렇다면 국내 스포츠는 도핑으로부터 안전지대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마추어 종목은 국제 기준에 맞춰 검사가 이뤄지는 등 비교적 ‘안전지대’인 반면 프로 종목은 인식도 제도도 사실상 공백 상태다.

◇아마 종목 “국제 수준으로 관리”=아마추어 종목의 경우 선수들 사이에 ‘약물 투여=선수 생명 끝’이라는 인식이 확산돼 있다. 국가대표 선수들은 국제대회에 나가면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정한 기준에 맞춰 도핑검사를 받는다. 2006년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가 출범한 이후로는 전국체전 등 규모가 큰 국내대회에서도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국체전에서 우승한 한 여자 수영선수로부터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검출돼 메달이 박탈됐다. 고광석 KADA 기획운영팀장은 “육상·레슬링·수영·역도 등 아마 종목은 국내에서도 국제 수준으로 검사를 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프로 종목 “일 터지면 부랴부랴”=프로 종목은 도핑의 심각성에 무감각한 상황이다. 그나마 프로야구가 지난해 7월 반도핑위원회를 출범시켜 자정노력에 나섰지만 리오스 파동에서 보듯 실효성이 의심스럽다. 축구는 지난해 대한축구협회 의무분과위원회에서 “올 시즌부터 K-리그 팀당 2명씩 연 1회 이상 도핑검사를 하자”고 협회 이사회에 건의했다. 하지만 이사회에서는 논의조차 되지 못했다. K-리그 팀 중 구단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도핑검사를 실시한 사례가 없으며, 한국프로축구연맹 관계자도 “리그 차원의 계획적인 검사도 없다”고 말했다. 프로농구도 국내 선수에 대한 도핑검사 규정이 없다.  

오명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