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비’ 살린 구원투수 윤종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윤종웅(58·사진) 진로 사장은 9일 특별한 아침을 맞는다. 상장 폐지된 지 5년 만에 재상장을 신청하는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 때 부도가 난 뒤 11년이 지났다. 2005년 3조4000억원에 진로를 인수한 하이트맥주는 진로의 재상장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2006년 말부터 두산 ‘처음처럼’의 도전에 간판 ‘참이슬’의 소주시장 점유율이 하강 곡선을 그리면서 브레이크가 걸렸다. 55%대였던 참이슬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3월 40%대로 주저앉았다. 재상장 신청 시한(상장 폐지 후 5년 이내)을 1년도 남기기 않은 때에 불어닥친 악재였다. 재상장을 신청하려면 어떻게든 부도 이후 계속돼 온 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나야 했다.

‘윤종웅 카드’가 던져졌다. 75년 하이트의 전신인 조선맥주에 입사한 윤 사장은 정통 ‘맥주맨’이다. 96년 전무로 일할 때 맥주업계의 만년 2위였던 회사를 부동의 1위로 끌어올렸다. 외환위기 직후인 99년 사장에 취임해 360%에 달하던 회사 부채비율을 102%까지 낮췄다. 2006년 하이트맥주의 맥주시장 점유율은 사상 최고치인 60%를 기록했다. ‘하이트 맨’이라는 수식어가 그에게 붙었다.

 하지만 소주업계는 높은 알코올 도수만큼 독했다. 사장 취임 후 두 달간 시장 점유율은 45%까지 떨어졌다. “맥주 하던 사람이 소주를 알겠나” 하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렸다.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생각으로 밤낮을 뛰었죠.” 그는 “주류업계에서 2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직원들을 독려했다. 7월에 드디어 점유율 50%를 회복했다. 8월에는 간판 상품인 ‘참이슬 프레시’의 도수를 19.5도로 낮춰 내놓으며 소주 도수 전쟁을 마무리했다. 지난해 3분기에는 순익 346억원을 달성해 부도 이후 처음으로 자본잠식 상태에서 탈출해 재상장 요건을 갖췄다.

9일로 윤 사장의 구원투수 역할은 막을 내리는 셈이다. 그는 올해 본격적인 공격 투구를 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국내 시장에서 시끄럽게 싸우지 않고 올림픽이 열리는 중국시장에서 한판 싸워 보고 싶다”고 말했다.  

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