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대선 TV토론분석자문단 '원 포인트 레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는 결론부터 단문으로 말해라."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는 자신의 비전을 내보여라."

"이회창 무소속 후보는 자주 웃어라."

6일 대선 후보 6명의 첫 합동토론회를 지켜본 중앙일보 TV토론분석자문단이 "이것만은 고쳤으면 좋겠다"며 '원 포인트 레슨'을 했다. 다음 토론회는 11일과 16일이다.

◆이명박 후보=자문단은 "이 후보가 자신의 입장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는 조언을 가장 많이 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이 후보가 개헌 등 문제에서 애매모호한 입장을 취한 게 아쉬웠다"고 말했다.

정치컨설팅 민의 박성민 대표는 "1~2분간 문답이 오가는 TV토론 속성상 짧게 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원광디지털대 주선희 교수는 "앞서가는 주자로서 다투기보다 포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게 좋겠다"는 지적했다.

◆정동영 후보=정 후보가 자신의 정책을 선명하게 드러내야 한다는 평가가 많았다.

강원택 숭실대 교수는 "현 정권과, 또 다른 후보들과 정책적 차별성을 좀 더 드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숙 스피치 전문가는 "평소보다 예리한 목소리로 긴장감을 불어넣었지만 지나치게 공격적이란 느낌을 줬다"고 분석했다.

"어금니를 자주 깨물던데 웃는 모습을 더 자주 보였으면 좋았겠다"(주선희)거나 "양복 상의와 넥타이의 질감, 색감이 충돌했다."(박윤수 패션 디자이너)는 조언도 나왔다.

◆이회창 후보=이 후보는 안정감을 줬으나 강렬한 인상을 심어 주는 데 미흡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황상민 교수는 "이 후보가 콘텐트가 있는 모습이었으나 인상에 남아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모범생' 이미지를 탈피하라는 주문도 많았다." 논리만으론 감동을 전달할 수 없다. 적절한 비유나 은유를 섞어라"(박성민)거나 "자주 웃어 근엄한 표정을 누그러뜨려라"(주선희)란 식의 처방도 나왔다.

◆역대 대선 TV토론회 중 시청률 최저=시청률조사업체인 TNS미디어코리아에 따르면 6일 토론회 시청률은 KBS1 15.2%, MBC 8.8%로 합계 24.0%에 그쳤다. 이는 두 채널의 동시간대 4주 평균 가구 시청률의 합 32.0%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2002년 16대 대선 후보 토론회 때 시청률 합계는 35.8%, 1997년엔 시청률 합계가 55.7%였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