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노동계 사법처리 검토/검찰·노동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현대분규 제3자 개입 혐의잡아/중공업 쟁의 찬반투표 들어가
【울산=김상진·홍권삼기자】 검찰과 노동부는 현총련의 지난달 30일 대규모 집회와 관련,이 행사를 주관한 현총련 간부 외엔 전노협 등 재야 노동권이 그동안 울산지역 현대계열사들의 노사분규에 개입한 혐의를 잡고 이들에 대한 사법처리를 검토중이어서 현대 노사분규가 사태가 노동당국과 재야노동권이 대결로 확산될 조짐이다.
노동부와 검찰은 현총련,재야 노동권 등이 그동안 쟁의중인 현대계열사들의 투쟁수위를 조절해 왔고 지난달 30일 울산 일산해수욕장에서 있는 「공동임금투쟁결의대회」에서 나온 구호나 행사내용으로 보아 명백한 3자 개입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들이 현대계열사들의 노사분규에 깊이 개입하고 있다는 증거를 이미 확보했으며 사법처리 시기는 현총련이 「중대결단을 하겠다」고 선언한 7일 이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노조원 1만8천명 규모인 현대중공업 노조는 2일 오전 8시부터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들어갔으며 현대미포조선도 3일 쟁의결의를 할 예정이어서 당국의 사법처리와 맞물릴 경우 중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이외에도 현대자동차는 9시간 부분파업과 협상을 계속중이며,현대정공은 2시간,현대중전기·한국프랜지·현대종합목재 등은 각각 1시간씩 부분파업을 벌이고 있다.
현대중장비는 1개 사업부 2백명만 전면 파업,나머지 6백명은 정상조업을 하고 있으며 현대강관은 정상 조업중이다.
현대그룹측은 현총련이 이날 오전 10시 울산 다이아몬드호텔에서 그룹대표자와 만나자고 제의한 대화요구에 『현총련이 7일로 계획하고 있는 중대결단의 명분을 찾기위한 제의에 불과하다』며 거부했다. 그러나 노동부 최승부 노사정책 실장이 울산으로 가 현총련이 요구하는 그룹차원의 대화를 노사 대표간담회 형식으로 만남을 주선중이어서 현대그룹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