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광주시장 통해 여론 수집/「5·18특별담화」나오기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유족·시민뜻 따라 망월동 성역화
구체적인 「5·18처방전」을 마련하기 위해 청와대에선 그동안 김양배행정수석·강운태내무비서관등 실무진이 강영기광주시장을 통해 현지 시민·재야단체의 여론을 수집했다.
강시장은 5·18관련 15개단체의 대표는 물론 여론지도층·일반시민의 의견등을 모아 청와대에 보고했다.
명예회복방안중 기념일제정은 광주시민화합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청와대측은 설명했다. 한 관계자는 『해마다 5·18관련 행사는 관련단체·학생측과 정부공권력이 대치한 가운데 치러졌는데 앞으로는 시전체가 사이좋게 공식행사를 치를 수 있게 됐다』고 분석.
망월동성역화는 유족회를 비롯,광주시민의 오랜 숙원이다. 정부는 부지·진입로확장,위령탑건립등에 82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보고있다.
전남도청 이전과 기념공원조성은 훨씬 큰 사업이다. 예산만 1천억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86년 11월1일 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돼 도청을 도관내로 이전해야 할 필요성이 줄곧 제기됐으나 그동안 재원문제로 실현되지 못했다.
80년당시 진압군이 주둔했던 상무대부지의 일부를 시민공원으로 조성하는 일은 군에 의해 피해를 본 민의 명예를 되살린다는 의미를 갖는다.
상무대 전체부지는 65만평. 군부대가 이전하게 됨에 따라 현재 광주시는 이땅을 국방부로부터 사들여 신도시를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있다.
광주시는 이미 이중 5만평을 무상으로 사용해왔으며 이번 조치로 5만평정도를 더 쓸 수 있게 됐다. 따라서 모두 10만평위에 시민공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5·18피해자신고는 그동안 두차례 접수돼 90년까지 사망자·행방불명자·부상자를 합쳐 2천2백27명으로 집계됐다. 3차신고에서는 사망보다는 약간의 행불신고가 예상되고 있다.
전과기록말소등 피해자 지원방안은 현재 국무총리가 위원장으로 되어있는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지원위원회」에서 추진하게 된다.
지명수배해제로 미국에 체류중인 윤한봉씨는 본인이 희망할 경우 귀국할 수 있게 됐다. 당시 전남대 학생과장이었던 서명원씨와 완산여상교사였던 이상호씨도 복직의 길이 열렸다.<김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