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산업 폐기물 버릴 곳이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지난해 6월에 이어 재연된 김포 쓰레기 매립장 주변 주민들의 산업 폐기물 반입 저지 사태는 환경처의 근시안적 행정이 빚어낸 결과라는 것이 환경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환경처는 김포 매립장 산업 폐기물 반입 초기인 지난해 6월 주민들이 환경 오염을 내세워 반입반대 시위를 벌이자 환경 영향 평가를 실시, 그 결과를 무조건 수용하는 조건으로 주민들을 설득해 반입을 재개했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배달환경연구소(소장 장원 대전대교수)에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의뢰했으며 연구소측은 지난달 13일『일부 폐수 처리 찌꺼기 중에서 허용 기준치를 초과한 중금속이 검출되고 있어 반입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환경처는 당초 약속과는 달리『자체 조사 결과 기준치를 초과한 중금속이 검출된 적이 없다』며 반입을 강행하려다 주민들의 집단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결국 폐수 처리 찌꺼기와 폐가죽류는 반입이 중단됐다.
한편 수도권 매립지 대책위원회(위원장 추인섭)는『유해 산업 폐기물 반입을 허용할 수 없다』는 근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으나 반입 중단 사태로 상당수의 업체들이 조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감안, ▲모든 반입 차량에 대한 4단계 검사 실시▲폐가죽류의 절대 반입금지▲유해 산업 폐기물 반입시 처벌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배달 환경 클럽의 중재안을 놓고 환경처와 협의를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폐수처리찌꺼기를 무해성이 입증된 식품·제지 등의 폐수찌꺼기는 다음주중부터 반입이 재개될 전망이다.
그러나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의 10∼20%를 차지하고 있는 폐가죽류 등은 매립장확보가 어려워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환경전문가들은 이밖에도 무해성이 입증된 제지 등 폐수 찌꺼기는 반입을 허용한다 하더라도 산업폐기물 방출업체들이 대폭적인 시설투자로 자체 정화 처리 시설을 보강하지 않을 경우 반입 중단 사태는 재연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이철희·전익진 기자><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