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신입생을 모셔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전북 J대학 金모(43)교수는 동료 교수 4명과 함께 지난달 월급에서 50만원씩을 뗐다. 신입생 유치를 위해 합격자들에게 장학금을 주기 위해서다.

지방대의 신입생 유치 작전이 눈물겹다. 교수들이 월급을 떼 학생 등록금으로 내 놓는가 하면, 신입생 전원에게 장학금 지급을 약속한 곳도 있다. 지원자 수에 비해 학교 정원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등록만 하면 장학생=충남 건양대는 합격자 중 등록을 하는 학생 전원에게 입학금(47만원)을 장학금으로 줄 계획이다. 특히 1차 추가 합격자에게도 장학금조로 20만원을 지급키로 했다.

대전대도 등록자 전원(2천5백여명 예상)에게 20만~30만원씩의 장학금 지급을 약속했다. 전북 서해대학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시모집 지원자에게 수업료의 40%(80만원)를 면제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수시모집(정원 8백60명) 지원자가 2002년 5백여명에서 2003년에는 6백여명으로 늘었다는 게 학교 측 설명이다.

장학금 지급은 이처럼 대부분 학교차원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규모가 영세한 대학에서는 교수들의 개인 돈도 투입된다. 이번에 학생 유치 명목으로 월급에서 50만원을 뗀 J대학 李모(47) 교수는 "대학의 경쟁력 강화라는 본질은 제쳐놓은 채 학생들 충원에 매달리는 학교.교수들의 모습이 서글프다"고 말했다.

◇외국 자매 대학도 동원=미국.중국 등 자매결연을 한 해외 대학의 총장들도 나서고 있다. 대전 우송대는 지난해 12월 31일 교수회의실에서 수험생.학부모를 대상으로 외국 자매대학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UNCP)의 알렉스 첸 부총장이 직접 나와 대학 커리큘럼.유학생활 등을 소개했다.

지방대들은 수도권 학생 유치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전주 우석대는 올해부터 서울~전주간 통학버스 2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대전 배재대는 수도권 지원자들을 위해 이번 학기부터 서울 법인 빌딩에서 화상 강의를 한다.

◇지방대 왜 어려운가=1995년 대학설립 요건이 완화되면서 대학 수가 크게 늘어난 데다 출산율 저하로 학생수가 줄어든 때문이다. 이번 입시에서도 수능 응시자가 64만여명인 데 비해 4년제 대학과 전문대 정원은 66만8천여명이나 됐다. 이에 따라 올 정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지방 21개 대학의 지원자 수 자체가 정원에 미달하는 일이 벌어졌다.

전주.대전=장대석.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