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모바일기기 노리는 디지털 범죄 지금부터 대비해야 '대란' 안생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엔 디지털 범죄가 기승을 부린다. 국내에서도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본격화되는 하반기부터 바이러스를 활용한 모바일 디지털 범죄가 속출할 것이다."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기술연구센터장(정보경영대학원장.사진)은 "모바일 기기는 이제 단순한 전화기가 아니라, 금융 결제용으로 쓰이거나 정보를 저장하는 도구"라며 이같이 경고했다.

임 센터장은 이어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디지털 범죄의 온상이 될 수 있고 특히 단말기 안에 담겨 있는 개인정보들이 새나가는 게 큰 문제"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전세계 이동통신 회사와 금융기관들이 휴대전화기로 글로벌 금융결제를 하게 되면, 금융 정보가 고스란히 해외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아직 모바일 기기에 대해서는 정보 보호 대책이 미미한 데도 올 들어 국내 한 금융기관이 단말기에 소프트웨어(운영프로그램과 인증서)를 심어 금융결제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모바일 금융서비스는 바이러스에 감염돼 자체 조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 센터장은 "최근 정부가 의사들에게 개인정보단말기(PDA)를 나눠주어 환자정보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추진 중"이라며 "이 서비스도 정보 보호 기능이 제대로 없어 환자 의료정보가 새나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휴대전화기 정보들이 마구 유출되면, 불법 모바일 결제를 통한 금융 사기가 줄을 이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정부와 민간업계가 손잡고 유선 통신 및 인터넷에 치중한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방화벽이나 백신 프로그램 등 정보보호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 센터장은 "우리나라는 서비스가 먼저이고, 정보보호는 뒷전"이라며 "유.무선 통신이나 인터넷 등 서비스마다 다르게 규정돼 있는 정보보호 관련법도 하나로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