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 「94년대입안」진통/본고사과목·수학능력비율 못정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2월말 시한… 공동보조 움직임도
고교내신성적 40%를 의무반영하는 것 외에 본고사 및 수학능력시험 채택에 자율권이 주어지는 94학년도 대학입시 최종안에 일선고교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각 대학이 방안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2월말 최종결정시한을 한달 앞두고 서울대등 상위권 대학들은 본고사 및 수학능력시험 채택여부·반영비율 등을 놓고 진통을 거듭하고 있으며 중위권대학,본고사의 자체출제능력이 부족한 하위권대학들은 타대학 눈치를 보는데 급급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사를 실시할 예정인 대학은 과목이 대학마다 다를 경우 수험생에게 큰 혼란을 줄 우려가 있음은 물론 우수학생을 유치하는데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 전형방법을 통일할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서울대는 그동안 모두 네차례에 걸쳐 단과대학장보등 18명의 교수로 구성된 「94학년도 대입제도개선 연구모임(책임자 백충현 교무처장)을 가졌지만 본고사 선택과목등을 둘러싸고 진통을 겪고 있다.
서울대는 교육부가 현재안대로 본고사를 세과목이내로 제한할 경우 수학능력시험을 20%정도 반영하고 과목제한이 풀릴 경우 수학능력시험을 배제할 내부입장을 마련하고 있으나 본고사과목을 어떤 과목으로 할 것인지는 교수들간의 이견이 심해 논란을 벌이고 있다.
특히 본고사 과목은 국·영·수안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지만 이 안을 채택할 경우 수학능력시험 영역인 언어,수리·탐구,외국어(영어)와 너무 중복되고 국·영·수 편중화를 초래해 고교교육 정상화에 역행한다는 반론도 만만찮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국·영·수 이외의 과목을 채택할 경우 문제가 제한될 수밖에 없고 선발기능에도 문제가 있어 현재는 일부 중복안이 제기되고 있지만 과목을 확정하지 못한채 2월 중순까지 계속 연구모임을 열기로 했다.
이와 관련,이태수 교무부처장은 『교육부안은 본고사과목을 세과목이내로 제한해놓아 고교교육 정상화,선발시험 자율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놓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고 『아직도 시간이 있는만큼 교육부가 본고사과목을 대학자율에 맡겨 대학의 혼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세대·고려대도 서울대와 같이 본고사과목·수학능력시험 반영비율을 정하지 못한채 고심하고 있다.
고려대는 본고사과목으로 인문·자연계 구분없이 국·영·수를 치르거나 계열별로 이중 어느 한 과목을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최종안을 확정하지 못하고 서울대등 다른 대학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고려대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상위권 학생들은 서울대와 연·고대 등이 본고사 과목이 다를 경우 입시준비과정에서 혼란을 겪게 될 수밖에 없어 이들 대학과 과목을 일치시키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국립대학 교무처장협의회는 23일 충남대에서 모임을 갖고 대학마다 본고사 과목이 다를 경우 수험준비·학교선택에 혼선을 빚을 우려가 있다고 보고 수학능력시험 반영비율·본고사 실시과목을 일치시키는 방안을 마련키로 하고 사립대와도 이와 관련,대응방안을 논의키로 결정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