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구 「맑은 물 공급대책」 마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부산/낙동강 천평방㎞ 특별지역 건의/대구/7백58억 들여 첨단장비등 설치
【대구·부산=이용우·조광희기자】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으로 홍역을 치른 부산·대구시가 획기적인 상수원 보호대책을 마련,5월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부산·대구시가 9일 발표한 「상수도 수질정화 종합대책」「맑고 깨끗한 물공급 특별대책」에 따르면 낙동강 취수장주변을 수계특별대책 지역으로 지정하고 오존처리·활성탄투입시설 등 첨단정수장비를 갖추는 한편 낡은 급·배수관 등을 모두 새것으로 바꿔 시민들이 안심하고 수도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대구시=내년까지 7백58억원을 들여 다사·낙동강수원지 등 4개 상수원에 ▲이산화염소·분말활성탄 투입기를 각각 8대씩 설치,5월1일부터 가동하고 ▲취수때 불순물유입을 막고 정수능력을 높이기 위한 자동 염소투입기 8대를 연말까지 설치하며 ▲운영 일보 자동기록컴퓨터 3대,변전소원방 감시시설 및 송수펌프 원격조종시설을 각각 3개소씩 설치,정수시설을 조정·운영하는 정수장운영실을 첨단장비로 바꾼다.
또 노후급·배수관 2백76㎞,상수도 본관에서 각 가정으로 인입되는 노후급수전 4만9천전의 개체사업을 8월말까지 매듭짓는다.
상수원관리조직도 확대개편해 자체수질시험소를 설치,분석과·연구과를 두고 시험요원도 현재 13명에서 전문직·연구직 27명으로 늘려 수질관리요원의 전문성을 높여나가는 한편 페놀·비소·수은·납·카드뮴시안 등의 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수질 자동분석기 13대를 도입한다.
이밖에 시민대표·관련단체·종교단체·학계·법조계·언론계 등 15명으로 민간수질감시위원회를 구성,오는 25일부터 수도물 취수와 생산·공급과정을 직접 감시,확인토록 한다.
◇부산시=금호강유역 4백55평방㎞·물금 매리취수장주변 5백71평방㎞ 등 2개지역 1천26평방㎞를 낙동강수계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특별대책지역이 되면 ▲폐수배출허용기준 강화 ▲오염원 총량규제(초과분 과징금 부과) ▲신규 오염업소 시설불가 ▲토지이용 제한 ▲주변농산물재배 제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 완벽한 정수와 풍부한 수도물 공급을 위해 올부터 97년말까지 5백41억9천5백만원을 들여 덕산·오명·오륜정수장에 오존처리시설 활성탄시설을 건설한다.
이와 별도로 98년말까지 2천3백억원을 들여 제6차 상수도 확장사업을 추진,하루 8백만t씩 정수처리해 공급하고 누수율 감소와 맑은 물을 공급키 위해 3천1백50㎞의 낡은 상수도관을 새것으로 바꾼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