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동 평화계획안 마련/부의 균형·지역안보에 중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스라엘­아랍 정상화 추진
지난번 미소 외무장관회담에서 걸프전쟁 이후의 중동사태를 포괄적으로 해결키로한 공동성명이 있은후 미 행정부가 중동 평화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끌고 있다.
이와 때를 같이해 프랑스·알제리·이라크·예멘·이란 대표가 이란의 테헤란에 모여 종전을 논의하고 있고 이스라엘의 레비 외무장관은 이스라엘의 독자적인 전후처리 5개 구상을 밝히는등 전쟁의 와중에서도 전후처리를 놓고 관련국간에 접촉이 활발히 전개중이다.
미 국무부는 전후 평화계획안을 마련해 베이커 국무장관에게 이미 보고했으며 게이츠 백악관 안보부보좌관이 중심이 되어 별도의 전후처리안을 작성중에 있다고 미 워싱턴 포스트지가 1일 보도했다.
미국은 다국적군 참여국들과 이 안을 협의한후 부시 대통령이나 베이커 국무장관을 통해 전후청사진을 머지않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전쟁결말이 어떻게 날지,또 사담 후세인의 위치가 어떻게 될지 아직 불투명한 상황에서 미국이 이같이 전후 처리안을 서두르고 있는 것은 전후상황에 불안감을 갖고 있는 아랍관련국들을 안심시키고 세계 각국에 전후의 미국 비전을 제시한다는 목적도 있겠으나 이라크를 의식한 면도 없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미국의 전후 평화계획안에는 당장 쿠웨이트의 전화선을 어떻게 복구할 것인가에서부터 항구적인 지역평화구조정책까지 모두 망라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 가운데 △지역국가간 부의 균형문제 △지역안보체제 수립 △무기제한 △이스라엘­아랍 갈등해결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우선 이번 걸프전쟁의 근인이 부유한 산유국과 인근 빈곤국간의 갈등때문이라고 파악하고 전후 아랍국간 부의 조정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물론 미국이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은 없으나 부시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요르단에 대해 전후 최우선 지원국으로 만들겠다고 언명한 것처럼 사우디·쿠웨이트 등 산유국들이 인근 빈곤국가를 지원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지역안보체제 구축에 있어서는 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를 주축으로한 새로운 세력균형을 상정하고 있으며 이란과 시리아를 어떤 비중으로 처리해야 할지 연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국의 지상군은 종전과 더불어 철수하더라도 해·공군력은 계속 이 지역에 남아있도록 하고 새로운 분쟁에 대비해 장비·탄약 등도 보존시키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 지역 국가간의 무력증강경쟁을 완화시키기 위해 서방국가들이 이 지역에 무기공급을 억제하고 이라크에 대해서는 종전후까지도 계속 무기수출을 금지토록 한다는 것이다.
또 이 지역에서 유일하게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이스라엘에 중동 국가들의 무기제한 노력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도록 압력을 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전후처리에서 가장 골치를 앓고 있는 부분이 아랍국과 이스라엘간의 관계정상화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문제를 다국간 회의체인 가칭 중동 평화회의등에 회부하는 것을 반대하고 있으며 중동국과의 관계는 중동각국과 이스라엘 양자관계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이스라엘이 이라크의 스커드미사일공격에 자제함으로써 아랍동맹국들의 이스라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어 이들 국가와 이스라엘간의 관계개선 전망이 밝다고 보고 있다.
또 소련으로부터 이스라엘로 유입되어오는 유대인 이민에 대한 미국의 지원이 이스라엘에 대한 지렛대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워싱턴=문창극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