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 3개월째 감소...대신 악성 미분양은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전국 미분양 주택이 3개월째 감소했다.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전국 미분양 주택이 3개월째 감소했다.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전국 미분양 주택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준공 후 미분양 가구 수는 더 늘었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865가구로 4월 말(7만1365가구)보다 3.5%(2500가구) 감소했다.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4월 이후 올해 2월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3개월째 줄고 있다. 다만 20년 장기 평균(6만2000가구)을 훌쩍 넘는 수준은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은 1만799가구로 전월(1만1609가구)보다 7.0%(810가구) 감소했고, 지방은 5만9756가구에서 5만8066가구로 2.8%(1690가구) 줄었다. 다만 서울 미분양 주택은 4월 1058가구에서 지난달 1144가구로 8.1% 늘었다.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미분양 무덤’으로 불리는 대구의 경우 미분양 물량이 1만2733가구로 여전히 가장 많았다. 4월(1만3028가구)보다는 2.3% 감소한 것이다.

세종의 미분양은 무려 26.9%(156→114가구) 줄었다. 분양업계에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분양 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으며, 지방 분양 물량이 감소하면서 미분양도 그만큼 줄었다고 분석한다.

실제 올해 5월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공동주택은 4만667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9만6252가구)보다 51.5% 감소했다. 수도권은 2만8554가구로 40.7%, 지방은 1만8116가구로 62.3% 줄었다.

주택이 다 지어진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8892가구로 4월보다 오히려 2.0%(176가구) 늘었다.

특히 전남의 경우 악성 미분양이 4월 906가구에서 지난달 말 기준 1196가구로 32.3% 증가해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주택 건설 경기 전반의 침체로 주택 인허가·착공의 감소세가 이어졌다. 주택 인허가는 올해 들어 5월까지 누계 기준 15만7534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6% 줄었다. 아파트 인허가는 전국 13만624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5%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2만1292가구)은 49.1% 감소했다. 주택 착공 실적은 5월 누계로 7만767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9% 줄었다.

건설업계에서는 미분양 우려가 커지면서 신규 주택 사업이 위축되고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인허가·착공 감소가 2~3년 뒤 공급 부족으로 이어져 집값 상승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금리가 더는 오르지 않을 것이란 확실한 신호가 나오고, 기존 주택 거래가 늘고 미분양 물량이 줄어드는 등 부동산 시장 전반이 살아나야 정상적인 사업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