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공체육시설 개방 꺼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정부 및 각 시·도가 관리하는 전국의 공공체육시설이 소극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으로 일관, 서울올림픽이후 생활체육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체육부는 서울올림픽이후엘리트체육에서 생활체육진흥과 청소년 건전 육성에 한국체육정책의 기조를 두었으나 생활체육에 필요한 정부관리시설물들에 대한 개방에 소극적이어서 생활체육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공공시설물의 개방기회는 시설물훼손과 개방에 따른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데다 수익사업 등 적극적인 활용을 외면하기 때문이다.
특히 체육부는 올림픽이후 생활체육진흥을 위해 국가대표 전용 훈련장인 태릉선수촌을 비롯, 진해선수촌·온양수영강 등 3개 국·공영 체육시설물 3개를 89년부터 대표선수들의 훈련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면 개방할 계획이었으나 예산부족과 시설물보호 등을 내세워 이를 반복, 백지화시켰다.
이 때문에 태릉의 각종 체육시설물은 대표선수들이 훈련이 없는 토·일요일 등 주말과 동·하계 휴식기간에는 그대로 놀리고 있는 등 운영상의 허점을 드러내고 있어 북경아시안게임이후 점증되고있는 생활체육의 열기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각 시·도가 관리하는 2백32개의 각종 경기장개방 일이 89년의 경우 2백23일에 불과, 연간 개방가능날짜 3백20일에 크게 못 미쳤던 것이 올해도 전혀 개선되지 않은채 반복되고 있다.
이같은 개강기피현상은 적극적인 수익사업을 외면, 결국 연간적자를 1백60억원에 이르게 하는 지방재정압박의 요인이 되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