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실험 사인만 남긴 김정은, 간부들 기강 잡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회의를 주재했다고 북한 매체가 13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회의를 주재했다고 북한 매체가 13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7차 핵실험을 앞두고 내부 기강 잡기에 나섰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12일 당 비서국 회의에서 “당내 규율준수 기풍을 세우고 간부들의 비혁명적 행위에 강도 높게 투쟁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보다 강력한 당규약 및 당규율 준수 기풍과 당의 노선과 방침 집행 정형, 건전한 작풍 구현과 도덕생활 정형에 대한 감독사업 체계와 시정체계를 엄격히 세우는 것이 필수 불가결의 선결과업”이라며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 실현과 당의 광범위한 정치활동을 강한 규율제도로 철저히 담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와 대외 긴장 고조 등 과제를 앞두고 내부 기강 해이를 강하게 다그치는 모습이다. 이날 회의는 지난 8~10일 당 전원회의를 마친 뒤 이틀 만에 열렸다.

북한은 한·미 간 외교 스케줄을 의식하며 7차 핵실험을 할 시기를 노리는 분위기다. 이달엔 한·미 및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지난 3일 서울), 차관(8일 서울), 국방장관(11일 싱가포르)이 머리를 맞댔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외교장관 회담도 13일 워싱턴에서 열렸다. 오는 29~30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정상회의에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하기로 한 만큼 지난달 21일에 이어 약 한 달 만에 한·미 정상회담이 다시 열릴 수 있다.

관련기사

북한으로선 핵실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한·미의 시간’을 파고드느냐, 혹은 한·미 외교 이벤트가 한창인 시점을 피하느냐의 갈림길에 선 셈이다. 극적 효과를 노리려면 전자를 택할 수 있지만, 최고조로 높아진 대북 경계 태세가 부담이다.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강행 시 즉각 비상 대응 체계에 돌입하고, 유사시 미국의 전략자산을 한반도 인근에 전개할 준비도 마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