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정치조직화|재야 노동권 찬반 팽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재야노동 운동권에 노동자의 정치세력화 노선 논쟁이 한창이다.
논쟁의 핵심은 「노동조합 외에 별도의 노동자 정치조직을 추진해야 하느냐」의 문제로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 있다.
이같은 논쟁은 「노동자 등 기층계급의 이익을 대변할 민중의 정당」을 선언하며 지난달 21일 창당 발기 대회를 갖고 조직구축에 나선 「민중당」 창당 준비를 계기로 본격화됐다.
현 시점의 노동운동 상황 아래서 노동자의 정치의식 발전에 따른 필연적인 정치 세력화를 「대중노동 운동조직이 맡아야 하느냐」아니면 「정당이 중심이 되어야 하느냐」는 이론대결인 이 논쟁은 초기에는 중앙노동 운동권 내부에만 국한됐던 일.
그러나 6월30일 「민중정당 결성 전국 노동자 추진위원회」가 구성돼 전국 18개 지부에서 일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조직확장을 추진하면서 각 지역의 노동 운동 단체와 노조에까지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노동자의 정치 조직화에 대한 논쟁이 대중 노동운동 조직에까지 파급되자 조직력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전노협은 지난 5월 4차 중앙위원회에서 결의한 입장을 각 지부에 전파, 혼란 예방에 나섰다.
전노협은 「민중정당의 참가 및 지지 서명에 대하여」라는 전문을 통해 『현재로서는 전노협이 선결해야 할 과제가 많고 민중정당 문제를 둘러싸고 저마다 견해를 달리해 조직의 분열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전노협의 조직적 입장표명 및 결의를 유보한다』고 밝혔다.
◇정당 필요론=87년 이후 노동운동 활성화로 사회·경제·정치적 지위향상과 함께 정치의식발전에 획기적인 성과가 있었고, 아울러 노동운동이 민중운동의 중심이 되었으므로 이제 노동자의 성장을 정치적으로 대변할 제도화된 정치공간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경제적·직업적 이익실현을 주로 하는 조직이므로 전노협에 과도한 정치투정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또 보수야당세력에 대중운동의 반영체나 방파제 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노동법 개정 투쟁, 구속자 석방 투쟁 등 일시적·산발적 정치투쟁과 노조의 기업별 경제주의를 극복하고 일상적·조직적인 정치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정당이 필요하다.
◇대중 노동 운동 조직론=현 시점의 노동운동은 3당 통합이후 현정권과 사용자로부터 지속적인 탄압을 받고있다. 이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87년과 같은 위력적인 노동운동탄압 저지 투쟁과 반정부투정을 펼쳐야 한다.
그것은 결코 제도권 합법정당을 통해서는 불가능하다. 튼튼한 투쟁력을 갖춘 비합법 혹은 반합·법의 노동운동조직이 필요하다.
◇민중당 참여=발기 취지문에서 노동자·농민·도시서민·여성·중간계층·중소 상공인 등을 지지기반으로 할 것을 천명했으며 창당 발기인 1천10명 중 노동자가 4백명이라고 밝히고 있다. 전노추(회원5백명)가 창당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발표된 49개 지구당 조직책(1차분)중에는 노동운동권 출신 l5명이 참여했다. <이덕령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