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 후 확진 '돌파감염' 4명…"접종 14일 뒤 감염된 2명 무증상"

중앙일보

입력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이후 코로나19로 확진된 돌파감염 사례가 4명으로 확인됐다. 모두 화이자 백신 접종자다. 보건당국은 그러나 돌파감염 사례가 극히 적은 데다 접종 후 감염된다고 하더라도 경증·무증상 가능성이 크고 2차 전파할 위험이 낮다며 접종을 재차 당부했다.

25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1일 0시 기준 국내 돌파감염 사례는 4명으로 집계됐다. 21일 기준 접종 완료자 148만2842명과 비교하면 0.0003% 정도에 해당한다.

통상 백신을 권장 횟수에 맞게 접종한 뒤 14일 지난 후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나 항원이 검출되는 경우 돌파감염으로 본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코로나19 1차, 2차의 예방접종을 모두 마치고 14일이 지나면 매우 높은 면역력이 형성된다”며 “이런 시기에도 감염이 되는 경우를 돌파감염이라고 한다. 결코 뭔가 잘못되거나 놀랄 만한 현상이 아니라 어느 백신에서나 낮은 확률로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람마다 면역 반응의 정도 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예방접종 후 정상적인 방어력을 갖추게 된다”고 말했다.

화이자 백신 전용주사기가 용기에 가득 담겨 있다. 중앙포토

화이자 백신 전용주사기가 용기에 가득 담겨 있다. 중앙포토

당국에 따르면 돌파감염 사례로 확인된 4명은 모두 화이자를 맞았다. 이 가운데 2명은 2차 접종 뒤 14일이 지나기 전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당국은 밝혔다.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시기는 2차 접종까지 완료한 뒤 14일 경과 후지만, 실제 감염된 시기는 14일이 지나기 전이라는 얘기다. 이 때문에 이상원 단장은 “백신 효과와의 개연성은 제한적인 거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나머지 2명은 영남 지역의 20대 간호사와 경기의 30대로 모두 임상 증상이 없었다고 한다. 영남 사례는 지난 3월 18일 화이자 백신을 1차로 맞은 뒤 4월 8일 2차 접종을 완료했으나 40일 지난 이달 18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어버이날(5월 8일) 가족 모임을 통해 전파가 일어난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경기 지역 확진자는 4월 1일 2차 접종한 뒤 50일쯤 경과한 이달 20일 확진됐다. 이 사례에 대한 감염경로는 아직 조사 중이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돌파감염이 된다고 하더라도 매우 드물고, 접종력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임상 증상이 경증이며 추가 전파시키는 감염성이 더 낮다고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화이자 백신. 중앙포토

화이자 백신. 중앙포토

당국은 백신 효과를 강조하며 접종 참여를 독려했다. 이상원 단장은 “질병관리청에서 백신 효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에는 1차 접종만으로도 89.5%의 예방효과가 확인됐다”며“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진행이나 2차 감염을 줄인다는 결과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방대본 분석에 따르면 백신 접종에 따른 감염예방 효과는89.5%, 사망예방 효과는 100%, 추가 전파 차단 효과는 45.2%에 달한다. 만에 하나 접종 뒤 돌파감염되더라도 다른 이에게 옮길 위험이 절반 가량으로 낮아진다는 얘기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