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밤 10시로 영업제한 완화…수도권은 현행 9시 유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음식점·호프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달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생존권보장 요구 기자회견을 갖고 9시 영업제한에 항의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장진영 기자

음식점·호프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달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생존권보장 요구 기자회견을 갖고 9시 영업제한에 항의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장진영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급격한 확산세도 뚜렷한 감소세도 보이지 않으면서 비수도권의 경우 오후 10시로 영업제한을 완화한다. 다만 수도권의 경우 오후 9시까지로 제한 조치를 유지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열고 “고심을 거듭한 끝에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다만 “수도권은 전체 확진자 70% 이상이 집중됐고 감염 확산의 위험이 아직 남아 현행 밤 9시 영업 제한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말했다.

상황이 호전되고 있는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밤 10시로 제한을 완화하지만 지자체의 자율권을 존중하기로 했다. 정 총리는 “정부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통해 성실히 방역수칙을 지키는 시설과 그렇지 못한 곳을 엄격히 분리해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고통을 언급하며 완화 조치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장기간 영업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고통은 더는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에 와 있다”며 “‘방역을 하기 싫다는 게 아니라 살고 싶다’고 절규하는 자영업자의 목소리에 중대본부장으로서 가슴이 미어지는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영업시간 완화 조치가 그동안 깊게 팬 자영업자들의 상처를 아물게 하는 데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을 잘 안다”며 “마음껏 가게 문을 열고 영업하게 될 날을 앞당길 수 있도록 정부가 더 분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