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충남 홍성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 '음성' 판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9일 충남 홍성군 광천읍의 한 도축장에서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의심신고가 들어온 뒤 농식품부가 초동방역팀을 투입해 사람과 가축, 차량 등 모든 이동을 통제하는 한편 긴급방역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김성태 기자

29일 충남 홍성군 광천읍의 한 도축장에서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의심신고가 들어온 뒤 농식품부가 초동방역팀을 투입해 사람과 가축, 차량 등 모든 이동을 통제하는 한편 긴급방역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김성태 기자

충남 홍성군 도축장에서 신고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의심 사례가 음성으로 판정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9일 오후 “충남 홍성군 광천읍의 한 도축장에서 폐사한 돼지에 대해 정밀검사한 결과 음성 반응이 나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이 도축장에서는 검사관이 도축 대기 중 계류장에서 돼지 19마리가 폐사해 있는 것을 발견해 농식품부에 신고했다.

충남도는 1차 부검 결과 소견을 토대로 도축장에 돼지가 일시에 몰려들면서 압박에 의해 질식사한 것으로 판단했다. 28일 정오를 기해 전국에 내려진 돼지 일시이동중지명령이 해제되면서 돼지 출하량이 급증하자 도축장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전국 최대 양돈 산지인 충남에서 들어온 첫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다행히 음성으로 나오면서 양돈농가와 정부도 한숨을 돌리게 됐다.

충남 홍성 의심 사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최종 판명됐다면 인천~경기~강원으로 이어지는 중점 방역 라인이 뚫렸다는 의미여서 판정 결과에 큰 관심이 모아진 바 있다.

지금까지 확진은 물론 의심 사례가 서울 이남 충청권에서 나온 것은 충남 홍성이 처음이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 17일 경기 파주에서 처음 확진된 이후 29일까지 총 9건이 발생했다.

최근 인천 강화군에서 5건이 잇달아 발생했고 경기 파주에서 2건, 연천과 김포에서 1건씩 일어나는 등 경기와 인천 지역에서만 나타났다.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 사태로 인한 살처분 대상 돼지 수는 총 9만5089마리다.

정혜정 기자 jeong.hye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