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삭제’한 한·일 갈등보다 미국 ‘무능’에 더 주목하는 중국

중앙일보

입력

한·일 갈등은 이웃 나라인 중국에도 큰 관심사다. 중국 경제는 물론 안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 주시한다. 중국 인민일보의 해외판 공식 SNS 뉴스 계정인 샤커다오(俠客島)는 3일 한·일 갈등이 “정말로 엄중하다”며 한·일 마찰의 자초지종을 상세하게 보도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 2일 태국 방콕에서 두 팔을 뻗어 강경화 외교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상을 끌어당기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두 장관의 냉랭한 얼굴에서 미국 중재의 실패가 엿보인다. [AP=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 2일 태국 방콕에서 두 팔을 뻗어 강경화 외교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상을 끌어당기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두 장관의 냉랭한 얼굴에서 미국 중재의 실패가 엿보인다. [AP=연합뉴스]

그러나 최근 중국의 시선은 한·일 갈등 자체보다 한·미·일 3국 사이에서 맹주 역할을 해온 미국의 ‘무능’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미국은 왜 팔짱만 끼고 있는지, 왜 사태 악화를 막지 못하는지, 그 결과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등에 더 주목하는 모양새다.
중국은 한·일이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명단에서 서로를 제외한 걸 메신저상에서의 ‘수신 차단(拉黑)’ 행위로 표현하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 중앙텔레비전(CCTV) 앵커 하이샤(海霞)는 3일 "한국과 일본이 서로 ‘친구 삭제’를 하고 ‘수신 차단’을 했다”며 ‘백색국가 제외’란 여행을 갈 때 비자 면제를 받던 사람이 그 혜택이 취소돼 까다로운 비자 심사를 다시 받게 된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한데 정작 주목할 건 한국의 거듭된 중재 요청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힘을 쓰지 못한 점이란 것이다. 하이샤는 그 원인을 미국 스스로 자격이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이 걸핏하면 ‘친구 삭제’를 하니 누구에게 그러지 말라고 말할 수 있겠느냐는 이야기다.
3일 중국 환구시보(環球時報)에 실린 ‘맹주가 싸움을 말리지 않아 한국이 실망하다’란 제목의 칼럼은 보다 분석적이다.
“한국이 수차례 미국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미국은 시종일관 팔짱만 낀 채 적극적인 중재도 하지 않고 사태 악화를 방관했다”는 것이다.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하는 결정을 내리자 분노한 한국 시민들이 3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아베 정권 퇴진'을 외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하는 결정을 내리자 분노한 한국 시민들이 3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아베 정권 퇴진'을 외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신문은 달라진 미국의 태도를 두 가지 원인에서 찾았다.
하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개성.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국 간의 마찰에 과다하게 개입하지 않으려 하고, 양측 모두에 죄를 짓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미국의 국력 쇠퇴. 종합적인 국력이 약해지다 보니 세계적인 문제나 동맹국 관리에 있어서 ‘힘이 마음을 따르지 못하는(力不從心)’, 어려운 상황이 됐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일 관계는 양국 국내적으로 커다란 변화가 생기거나 외부로부터의 강력한 개입이 발생하지 않는 한 계속 악화해 단기간 내엔 정상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
심지어 ‘준(準) 단교’ 상태로까지 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또한 한국 내 일본에 대한 분노와 함께 미국에 대한 불만 또한 커지며 미국의 한국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약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관영 통신사인 신화사(新華社)도 ‘한·일 관계는 어디로 가나’란 보도에서 미국이 한·일 갈등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이유는 “미국이 한·일과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건 자신만의 전략적 이익이지 한·일의 역사나 영토 문제에서의 시비를 따지는 건 아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베이징=유상철 특파원 you.sangchul@joongang.co.kr

한국의 거듭된 중재 요청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팔짱만 낀 채 사태 악화 방치해 #한·일 관계 ‘준단교’ 수준까지 떨어질 수도 #한국 내 미국 영향력은 크게 약화될 전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