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국장급 회의 평행선...일 측은 "모든 선택지 검토"강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제징용 배상판결 이후 악화된 한일관계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해 14일 서울에서 열린 외교당국 국장급 회의가 평행선을 달린 가운데, 일본 정부는 “대항조치를 포함한 모든 선택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갈등 부각 옳지않다" 강조 한국 측과 온도차 #가나스기 국장 "구체적 대항조치 언급은 없었다" #교도통신 "日,중재위원회 준비 본격화할 것"

지지통신에 따르면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이날 오후 외교부에서 김용길 동북아 국장과 국장급 협의를 한 뒤 기자들과 만나, 최근 원고 측이 일본 기업의 한국 자산에 대한 압류 신청을 낸 것과 관련해 “대항조치를 포함해 모든 선택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14일 오후 한굴 국장급 협의에 참석하려고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 도착해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 [뉴스1]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14일 오후 한굴 국장급 협의에 참석하려고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 도착해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 [뉴스1]

“한·일 외교당국이 양국 간에 갈등이 부각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공감대를 이뤘다”는 점을 강조한 한국 외교부 측의 설명과 미묘한 온도차가 느껴진다.

가나스기 국장은 다만 “구체적인 이야기를 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국장급 회의에서 구체적인 대항조치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가나스기 국장은 "대응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은 사실이며, 현재로서는 한국 정부의 대응을 지켜본다는 것이 우리의 스탠스"라고 말해, 한국 정부 대응을 기다리겠다는 뜻을 드러냈다고 NHK는 전했다.

일본 정부는 또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함과 동시에 한일 청구권협정에 기반해 ‘양국간 협의’에 응할 것을 재차 요청했다. 이에 대해 한국 측은 “검토 중”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반복해 이날 논의는 평행선을 달렸다고 지지통신은 보도했다.

당초 일본 측이 이날 협의에서 청구권협정의 조항에 따라 중재위원회 구성을 요청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지만 이번 협의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다음 분쟁 해결 절차로 제3국 위원을 포함한 ‘중재위원회’ 구성제안 준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14일 오후 한굴 국장급 협의에 참석하려고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 도착하고 있다.[뉴스1]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14일 오후 한굴 국장급 협의에 참석하려고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 도착하고 있다.[뉴스1]

이에 앞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회견에서 "오늘 서울에서 열리는 국장급 협의에서 '구 한반도 출신 노동자'(징용공) 문제와 위안부 문제 등 한일 간 중요 현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이번 국장급 협의에서 양국 간의 중요 과제에 대해 제대로 우리 입장을 전하고 싶다"며 징용공 문제 등 주요 현안에 한국 정부가 해결책을 먼저 제시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쳤다.

도쿄=윤설영 특파원 snow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