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청문회 30일 재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여야는 28일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과발표로 중단됐던 국회특위활동을 재개키로 하고 특위활동의 방향 및 일정조정을 위한 협상에 착수했으나 여야간 청문회 운영방식 등에 의견이 엇갈려 진통이 예상된다.
민정당 측은 특위활동을 재개키로 하고 ▲5공 유산의 년 내 매듭을 위해 각 특위의 동시운영 ▲청문회의 TV생중계 중단 등 방침을 정하고 4당 총무회담과 각 청문회일정 협의에 제시했다.
그러나 야당 측은 ▲각 청문회의 순차적 일정조정 ▲TV생중계 계속 ▲특별입법을 통한 특별검사제 도입 ▲전두환·최규하 전 대통령의 특위출석 등을 관철한다는 기존방침에 따라 여당 측의 제의를 거부했다.
여당 측은 야당 측이 주장하는 특별검사제 도입과 전·최 전대통령의 출석에 반대하는 입장이어서 여야간에 계속 쟁점이 되고있다.
이에 따라 광주특위는 이날 간사회의와 전체회의를 열고 지난 24, 25일에 열 예정이었으나 중단됐던 광주청문회 속개 문제를 논의해 29, 30일 중 하루와 12 월6, 7일에 열자는 야당 측과 12월 5, 6, 7일에 열자는 여당주장이 맞서 절충을 벌였다.
광주특위는 이날 절충 끝에 오는 30일과 12월 6, 7일에 TV 생중계 하에 청문회를 열어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노력을 계속키로 했다.
이에 따라 30일엔 정동년·정승화(전 육참 총장)·심재철·정기용·김종배씨 순으로 신문을 하고 6일은 신현확·이신범·한상석씨, 7일은 정호용·윤흥정씨 등에 대해 신문을 벌이기로 했다.
특위는 이와 함께 전두환·최규하 두 전대통령이 참석하는 3차 청문회 개최문제에 대해서도 논의, 야당 측은 정기국회가 끝난 뒤인 12월 19일부터 3일간 열 것을 제의한 반면, 민정 당 측은 좀더 검토한 뒤 결정하자고 반대해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5공 특위도 이날 간사회의와 29일 전체회의를 잇따라 열고 지난번 연기됐던 일해 청문회 개최일정 및 앞으로의 운영방안을 논의할 예정인데 야당 측은 ▲광주특위 및 언론청문회와 중복 안 되는 일정조정 ▲TV생중계를 원칙으로 하고있어 여당 측과의 협의에 난항을 겪을 것 같다.
이에 앞서 평민당은 28일 총재단회의를 열어 광주청문회 등 특위활동과 관련해 ▲29일부터 광주청문회 재개 ▲특별입법을 통해 특별검사제도입 ▲국회전문위원을 특위활동에 활용 ▲전두환·최규하씨의 국회출석 등 네 가지원칙을 정하고 이를 관철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