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홍콩 비행기 티켓, 동남아 아닌 중국 카테고리서 찾아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중국 정부가 대만·홍콩·마카오 등을 중국과 별개의 국가처럼 기재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위배한 표현을 삭제하라고 중국에 취항하는 외국 항공사에 공문을 보냈다. 공문을 받은 국내 항공사 일부는 중국의 요청에 따라 해당 국가의 정보 분류를 ‘동남아’에서 ‘중국 및 홍콩·마카오·대만’으로 수정했다.

중국 “별도 국가로 표현 말라” 공문 #36개 외국 항공사 대부분 수용할 듯

중국 민항총국(CAAC)은 최근 36개 외국 항공사에 “외국 항공사의 홈페이지나 안내 책자에 게재된 취항지 분류 등에서 대만·홍콩 등이 별도 국가인 것처럼 표현된 경우가 많다”며 이들 지역이 중국의 일부임을 분명히 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일부 항공사는 홈페이지의 티켓 예매 화면을 비롯한 각종 게시물에서 동남아로 분류했던 대만을 모두 중국 카테고리로 이동시켰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아직 관련 정보를 수정하지 않은 항공사 역시 CAAC의 요청을 받아들여 정보를 수정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 당국의 요청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불이익을 우려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정부 당국자는 “민간 기업이 판단할 사안”이라면서도 “정부 차원에서도 대책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기본 입장은 1992년 한·중 수교 때부터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한다는 것이며 그것을 가이드라인(지침)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하나의 중국’ 원칙과 관련해 중국이 외국 기업의 홍보물에까지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올 1월에는 세계적 호텔 체인인 JW메리어트 호텔과 미국 기업인 델타항공의 대만·티베트 표기와 관련, 해당 업체의 중국 내 홈페이지 접속을 차단한 뒤 공문을 보내 수정을 요구했다. 그 이후 36개 외국 항공사에 일제히 공문을 보낸 것이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내외신브리핑에서 “중국에서 사업하는 외국기업은 마땅히 중국의 주권과 완전한 영토를 존중하고, 중국의 법률을 준수하며, 중국인의 민족 감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2016년 9월엔 국내 한 시중은행이 새로운 신용카드를 출시하면서 “아시아 5개국(중국·대만·홍콩·마카오·일본)에서 언제나 환영받는 카드”란 광고를 게시했다가 중국 네티즌의 강한 반발로 철회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