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당국 간 핫라인체제 구축, 협의 정례화한다

중앙일보

입력

조윤제 주미대사

조윤제 주미대사

한국과 미국 외교당국이 곧 다가올 남북, 북·미정상회담 등에 대비해 주미한국대사관-미 국무부 간 협의를 정례화하기로 했다.

조윤제 주미대사-손턴 동아태차관보 라인 정상회담 준비 #미 국무부, "정상회담에서 인권 논의예정", 한국과 입장차

정부 고위관계자는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두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대사관과 미 국무부 측이 계속 만나 현안에 대한 의견 및 정보를 교환해 나가기로 했다"며 "한국 측은 모임의 대표를 조윤제 대사가, 미국 측은 수전 손턴 국무부 동아태차관보가 맡았다"고 전했다.
이미 지난주 주미대사관과 국무부 양측 간 실무회의가 이뤄졌으며, 오는 16일에는 조 대사와 손턴 지명자가 참석한 협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수전 손턴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자명자

수전 손턴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자명자

이 같은 양측 간 핫라인 구축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 지명자가 이달 말쯤 공식 취임해 북·미 정상회담 준비작업이 본격화되면 외교라인이 준비를 주도하게 될 것이란 판단에 따른 것이다.
주미대사관 측은 이 모임을 통해 백악관쪽에서 어떤 절차를 밟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고위관계자는 "우리가 이 강을 건너면 분명히 좋은 땅이 있는데, 지금은 말을 몰고 강변에 도달한 상황"이라고 현 상황을 묘사한 뒤 "우리 앞에 놓인 강이 강폭도 넓고 물살도 만만치 않지만 어떻게든 이 강을 성공적으로 건너야 우리가 원하는 땅에 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어느 정도 (회담결과에) 희망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며 "회담에 임하는 사람들 간에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해선 안 되겠다는 의지가 강하고, 성공하지 못하면 지불해야 할 비용이 너무 크다는 걸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 국무부는 이날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뜻을 밝혔다.

미 국무부에서 브리핑하는 헤더 노어트 대변인[AP=연합뉴스]

미 국무부에서 브리핑하는 헤더 노어트 대변인[AP=연합뉴스]

헤더 노어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인권 문제도 거론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 보통 큰 견해차가 있는 나라들과 마주앉아 회담을 하게 되면 그 문제가 언급된다. 나는 그(북한 인권) 문제도 언급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노어트 대변인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북한과 미국의 개념이 일치하느냐"는 질문에는 "그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다. 대통령을 대신해 말할 수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또 카티나 애덤스 동아시아담당 대변인은 이날 '미국의소리(VOA)'방송에 "과거 (북한과의) 협상에서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접근은 모두 실패했다"며 "지금은 비핵화를 위한 대담한 행동과 구체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미 국무부 당국자들이 언급한 '인권문제 거론'이나 '원샷 해결' 등은 한국 정부 입장과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라 향후 외교당국 간 정례 협의 등을 통해 어떻게 조율될 지 주목된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