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특위」진통계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광주특위 명칭문제에 걸려 국회특위 구성이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국회는 23일 운영위와 본회의를 각각 열어 7개 특위구성결의안을 처리할 방침이었으나 평민당측이 광주특위의 명칭문제에 있어 민정당측이 제안한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특위」에 대해 수용여부를 결정짓지 못해 처리를 하루 더 연기키로 했다. <관계기사 5면>
이바람에 운영위는 열리지 못했으며 본회의도 자동유회되는 등 국회가 공천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이날 총무접촉 등을 통해 계속 광주특위명칭 문제에 대한 절승을 계속할 예정인데 민주·공화당 등도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특위라는 명칭을 받아들이는데 동의하고 있어 이 방향으로 의견접근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여야간 광주특위명칭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면 국회는 여야 공동제안으로 7개 특위를 24일 본회의에서 구성키로 의결한다.
이에앞서 김윤환 민정·최형우 민주·김용채 공화 등 3당 총무가 1차 회담을 갖고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위로 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이 회담에 평민당 김원기 총무는 참석하지 않아 끝마무리를 짓지 못했다.
4당은 이날오전 각각 당직자회의와 간부회의 등을 열어 특위문제타결 방안을 협의했다.
민정당측은 당내 강경분위기 등을 감안해 민화위의 결론수준인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라는 명칭을 고수하기로 확인했다.
평민당은 23일 오전 확대간부회의를 열어 민정·평민당간의 대림국면으로 치닫고있는 광주특위의 명칭문제와 관련, 「민주화운동」의 수용여부를 놓고 논란을 벌인끝에 『광주특위는 단순히 명칭문제가 아니라 국회특위활동전체에 미칠 영향까지도 고려돼야한다』는 이유는 당론결정을 하루 연기키로 했다.
이상수 대변인은 회의가 끝난 후 『경우에 따라서는 광주특위 문제가 특위전체 활동을 순항시키느냐, 어렵게 만드느냐는 문제를 놓고 팽팽한 의견교환이 있었다』면서 『하루를 더 지켜보면서 두리당의 입장을 관철키위해 노력하고 민주·공화당과도 그같은 방향으로 협력체제를 강화시킬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민주화운동」을 수용해 대화와 타협의 차원에서 양보하는 것이 민정당내 강경파입지를 강화시켜주는 걸과를 낳아 앞으로의 정국운영에 어려움을 초래케한다는 강경논의와, 반대로 양보하지 않는 것이 민정당내 온건파입지를 어렵게 해서 대화창구를 잃고 국회파행운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온건논리가 맞서 2시간여 격론을 벌였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민주당은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광주특위명칭문제에 대해 「운동」이란 표현이 「투쟁」 보다 역사성과 포괄적 의미를 갖고있다고 판단, 이 특위명칭을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특위로 하기로 결론지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