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와 선술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영국사람들은 의회의 속기록을「한사드」라고 한다. 특별한 뜻이 있는 것은 아니고 출판사의 이름이다. 영국의 의사속기록은 원래 한사드 라는 출판사에서 찍어 왔다. 유별난 것을 싫어하는 영국사람들은 그저 부르기 좋게 그 출판사 이름을 따라 한사드 라고 했다.
한사드는 표음기록 아닌 축어기록(verbatim record)을 따르고 있다. 발언의 취지를 바꾸지 않는 범위에서 문법에 맞게, 잘못된 기록 등을 바로 잡는다.
그러나 더 중요한 사실은「박수」「웃음」「야유」등과 같은 회·의분위기를 묘사하는 말은 써넣지 않는다. 의원이 원하는 경우는 기록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은 예외적인 일이다. 그만큼 의사속기록은 민주주의의 교과서답게 위엄을 갖는다.
영국 하원은 1921년부터 의회발언 중에 사용할 수 없는 말을 정해 놓았다. liar, lie, lying 등이다. 모두 거짓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다.
의회발언은 몇 가지 룰이 있는데 이런 식이다. 용어는 일상회화에서 쓰는 평이한 말로하며 명료, 간결, 구체적이어야 한다.
원고를 써 가지고 나와서 읽어도 안 된다. 중요문서를 인용하거나 각료가 처녀발언을 할 때는 원고를 읽어도 묵인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자유토론의 정신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의장이 원고낭독을 금지한다.
「발언의 냉각 화」(cooling process)라는 것도 있다. 첫째, 발언의 동기를 비난공격하지 않는다. 발언자를 자극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둘째, 발언은 온 화와 중용을 지킨다. 과격한 표현은 쓰지 않는다.
자, 이젠 우리나라 국회를 보자. 3야당이 요즘 국회에 내놓은 국회법 개정안을 보면 국회 안에서 음식을 먹어도 되고, 담배도 피울 수 있고, 오버코트도 걸치고 들어갈 수 있게 했다. 누구보다 민주주의와 의회정치를 부르짖어 온 야당이 앞장서서 의회의 품위와 격조를 떨어뜨릴 셈인지 묻고 싶다. 의회주의를 존중한다는 뜻은 의회를 선술집 모양으로 만들자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국회는 좀더 품위와 신뢰가 가는 국회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제시해 보여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