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추위와의 전쟁’ 평창올림픽 개회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송지훈 기자 중앙일보 스포츠부 차장
송지훈 스포츠부 기자

송지훈 스포츠부 기자

2018 평창올림픽 개회식은 ‘극한 추위 견디기’를 체험하는 무대가 될지 모른다. 모의 개회식이 열린 3일 밤 행사장의 기온은 영하 14도. 체감 온도는 영하 22도나 됐다. 개회식이 열리는 9일 밤엔 기온이 영하 8도 안팎이 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이날 모의 개회식에 참가한 이들이 체감한 추위는 상상 이상이었다. 오후 9시를 넘기면서 대관령의 칼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자리를 뜨는 관중이 많았다. 조직위는 “모의 개회식 참가자에겐 조직위가 마련한 ‘개·폐회식 방한 6종 세트(판초 우의·무릎 담요·핫팩 방석·손 핫팩·발 핫팩·방한모)’가 지급되지 않았다”면서 “문제점은 남은 기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일러스트=박용석]

[일러스트=박용석]

평창올림픽 개·폐회식 당일의 추위는 행사장인 올림픽 플라자 건설 계획이 발표된 직후부터 꾸준히 제기된 문제였다. ‘나흘간 쓰고 철거할 건물에 과도한 예산을 투입해선 안 된다’는 공감대 속에 겨울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지붕 없는 가건물 형태로 개·폐회식장을 건설했다. 이후 조직위는 방한 대책을 하나씩 마련하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왔다. 관람객 전원에게 지급할 ‘방한 6종 세트’를 준비했고, 대관령을 넘어오는 강풍을 막기 위해 관중석이 위치한 2층에는 방풍막도 설치했다. 경기장 곳곳에 히터를 설치하고, 의료진도 대기시킨다.

그러나 방한 대책 못지않게 운영요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도 필요하다. 소수의 인력이 2만명 가까운 관중들의 보안 검색을 도맡다 보니 출입구마다 줄이 길게 늘어섰다. 입장하는 데 오랜 시간을 소비한 일부 관중들은 “개회식 행사 내용은 없고 추웠던 것만 기억에 남는다”고 입을 모았다. 관객이 좌석과 가까운 출입구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 시스템을 보강하고, 출입구마다 관리 인력을 늘리면 입장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모의 개회식에 참여한 한 자원봉사자는 “출입구 관리 업무를 맡은 자원봉사자들이 티켓 확인과 좌석 안내 업무에 매달리는 동안 다른 한 켠에서는 마땅한 역할이 없어 경기장 주변을 배회하는 봉사자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평창올림픽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우리나라에서 30년 만에 열리는 올림픽이자 처음으로 열리는 겨울올림픽이다. 개막식은 평창올림픽의 출발을 알리는 특별한 무대다. 더구나 이번 올림픽에는 북한이 참가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강추위의 기억이 더 남는 평창올림픽이라는 불행한 ‘기록’을 남기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송지훈 스포츠부 기자